정책지도

내용
지방소도읍육성사업과 거점면소재지마을종합개발사업은 유사한 목표를 지니며 2010년 이후 포괄보조금제도 도입으로 통합적 계획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단위사업화로 인해 정체성과 독립성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선진국 사례에서는 농촌중심지를 경제적사회적 구심점으로 활용하며 종합계획 기반의 다부처 연계 정책 추진이 활발하다 일본은 지역재생법을 영국은 마켓타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농촌중심지 활성화를 위한 방향으로는 정주체계 재정립 컴팩트한 중심지 개발 복합연계형 사업 추진 생활서비스 기반의 광역 공동이용 방안 등이 제안된다 주민참여와 지역 특화도 강조된다
제도 개선을 위해 국토계획법 내 시군기본계획 하위에 농촌중심지계획을 설치하고 시군관리계획과 정합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도시재생지원법 및 지방소도읍육성지원법 개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책추진 체계는 지방 주도하에 중앙의 지원과 조율이 필요하며 지역 주민과 전문가 민간조직의 협력 구조가 중요하다 실질적이고 일관된 지침이 지자체에 제공되어야 정책 효과가 극대화된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연구 수행절차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의 관점
1 농촌중심지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2 농촌중심지의 내부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3 농촌정주체계 설정 및 농촌중심지 개발에 관한 연구
4 농촌중심지 관련 쟁점과 연구의 관점
제3장 농촌중심지 관련정책의 추진실태 분석
1 지방소도읍육성사업
2 거점면소재지마을종합개발사업
3 기타 농촌중심지 관련사업
4 소결
제4장 외국의 농촌중심지 관련 정책
1 일본의 농촌중심지 관련정책
2 영국의 농촌중심지 관련정책
3 미국의 농촌중심지 관련정책
4 외국 정책사례의 시사점
제5장 농촌중심지 활성화정책의 발전방안
1 기본전제
2 농촌중심지 활성화 계획의 위상 정립 및 추진체계 개선
3 농촌중심지 활성화를 위한 접근방식수법 개선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연구의 한계와 향후과제
참고문헌
부록 충남의 기초생활권 중심지 여건분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성순아
열린충남49호 2009. 12. 01
(해외출장보고서)제3회 동아시아지방정부 3농포럼 참석 및 충남연구원-귀주성사회과학원 학술교류협약 체결(중국 귀주성) 2017. 09. 16
충남도 대중국 교류지역연구(II)- 중국 랴오닝성과 장쑤성 현황과 주요 정책동향 2016. 04. 01
(해외출장보고서)랴오닝성사회과학원 MOU 체결 및 학술세미나 개최 2019. 08. 20
성연식품 디자인 (산업디자인팀) 2007. 04. 02
성성호수공원의 경관생태적 특성화 방안 2024. 09. 09
-
이민화
충청남도 도시형 마을만들기 정책방향과 추진과제 2011. 01. 01
충남자치분권포럼 라운드테이블 및 주민자치·자치경찰제 세션(CNI세미나 2021-27) 2021. 09. 13
도시재생정책의 제도화에 대응한 충남의 도시재생방향과 추진과제 2012. 01. 01
충남 공유경제의 활성화 방향 연구: 사회적경제와 상호보완성을 중심으로 2020. 04. 07
충남형 도시재생사업 모델 개발 연구 2023. 03. 02
-
김정연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 소도시연구회 5차 워크숍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주제발표 (김정연,성주인) 2013. 07. 29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
-
조수희
열린충남49호 2009. 12. 01
마전권역 거점면 소재지 마을 종합개발사업 기본계획 용역 2010. 03. 30
충청남도 농촌지역 리더육성 프로그램 실태 및 개발방안 2006. 01. 01
충청권 도시쇠퇴 특성과 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2009. 01.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영국 도시재생 성공사례 2009. 10.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