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도시재생이 주목받으면서 정비사업이 과도한 개발 중심으로 왜곡되고 있는 현실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이 본래 목적대로 공공성과 계획성을 담보하는 방향으로 재정립돼야 한다
천안시와 아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비예정구역 지정 기준 사업유형 개발밀도 등의 문제를 분석했으며 특히 사업성 위주로 지정된 광범위한 정비예정구역이 도시기본계획과 충돌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전면철거 방식 위주의 주택재개발이 주를 이루며 지역 정체성이 사라지고 아파트 일변도의 획일적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대해 민간 주도에서 공공 지원 중심의 소규모 정비로 방향 전환이 요구된다
개발밀도 측면에서는 용적률과 층수 상한 기준이 아파트 사업성 확보를 위한 구조로 작용하면서 도시의 무분별한 고밀개발을 유도하는 한계가 드러났다 지구별 계획에서 개발밀도와 기반시설 조화를 고려한 통제가 필요하다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 구분 기준 정비예정구역 지정 방법 도심 공동화 방지 등 계획 수립 전반에 걸쳐 유연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비방식 도입이 강조됐다 주민자력형 정비모델 확산이 하나의 해법으로 제시됐다
전체적으로 지역 실정에 맞는 계획 수립을 위해 다양한 실증적 기초연구가 필요하며 법적 지침은 절대 기준이 아닌 참고 기준으로 활용해야 한다 지자체의 자율성과 공공의 역할 강화가 도시재생의 핵심으로 강조됐다
천안시와 아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비예정구역 지정 기준 사업유형 개발밀도 등의 문제를 분석했으며 특히 사업성 위주로 지정된 광범위한 정비예정구역이 도시기본계획과 충돌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전면철거 방식 위주의 주택재개발이 주를 이루며 지역 정체성이 사라지고 아파트 일변도의 획일적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대해 민간 주도에서 공공 지원 중심의 소규모 정비로 방향 전환이 요구된다
개발밀도 측면에서는 용적률과 층수 상한 기준이 아파트 사업성 확보를 위한 구조로 작용하면서 도시의 무분별한 고밀개발을 유도하는 한계가 드러났다 지구별 계획에서 개발밀도와 기반시설 조화를 고려한 통제가 필요하다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 구분 기준 정비예정구역 지정 방법 도심 공동화 방지 등 계획 수립 전반에 걸쳐 유연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비방식 도입이 강조됐다 주민자력형 정비모델 확산이 하나의 해법으로 제시됐다
전체적으로 지역 실정에 맞는 계획 수립을 위해 다양한 실증적 기초연구가 필요하며 법적 지침은 절대 기준이 아닌 참고 기준으로 활용해야 한다 지자체의 자율성과 공공의 역할 강화가 도시재생의 핵심으로 강조됐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과 범위
제 2 장 도시재생 관련 법률 및 제도와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고찰
1 도시재생 관련 법제도
2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개요
3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목표 및 정비사업의 기본방향
4 기초조사
5 부문별 수립기준
6 계획의 수립절차
제 3 장 관련 연구 검토 및 의식조사
1 기존 연구의 검토
2 의식조사
제 4 장 충남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주요 검토대상
2 정비예정구역 설정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3 정비예정구역의 사업유형 선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4 정비예정구역의 개발밀도 결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 5 장 결론
1 연구의 한계
2 정책제언
참고문헌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과 범위
제 2 장 도시재생 관련 법률 및 제도와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고찰
1 도시재생 관련 법제도
2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개요
3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목표 및 정비사업의 기본방향
4 기초조사
5 부문별 수립기준
6 계획의 수립절차
제 3 장 관련 연구 검토 및 의식조사
1 기존 연구의 검토
2 의식조사
제 4 장 충남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주요 검토대상
2 정비예정구역 설정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3 정비예정구역의 사업유형 선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4 정비예정구역의 개발밀도 결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 5 장 결론
1 연구의 한계
2 정책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봉운
국가해양정원 조성방안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17-081) (최덕림,조봉운) 2017. 07. 11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태안군의 발전방향과 과제 (이충훈,이인배,한상욱,조봉운,박철희,임명재) 2004. 12. 21
열린충남49호 2009.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