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충청남도 산업단지 내 도로의 횡단구성 현황과 개선방안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 산업단지 내 도로의 횡단구성 현황과 개선방안

기간
2010. 01. 01 ~ 2010. 12. 31
연구책임자
도명식
연구자
윤정미
키워드
충청남도,산업단지,도로,횡단구성,물류,도로설계
다운로드

R101205-충청남도 산업단지 내 도로의 횡단구성 현황과 개선방안(윤정미,도명식)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서북부를 중심으로 산업단지 조성이 활발하나 도로 계획은 일반 도시도로 기준에 의존해 산업단지 특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특히 대형차량 운행이 많은 산업도로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부족해 안전성과 이동성 확보가 미흡하다
국내외 도로 설계기준 산업단지 교통특성 및 도로 폭원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고 조치원 천안 제4 아산 고대부곡 등 산업단지를 현장조사하여 도로 횡단구성의 문제점을 도출했다 산업단지 조성 시기와 수준에 따라 설계 기준 충족 여부에 큰 차이를 보였다
과거 조성된 산업단지 일부 도로는 세미트레일러의 회전반경이나 도로 최소폭을 충족하지 못했고 보행공간이나 자전거도로가 미비하거나 아예 설치되지 않은 경우도 많았다 이는 물류 이동에 지장을 주고 이용자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제안된 개선방안은 산업도로 특성과 설계기준차량의 제원을 고려한 최소 차로폭 회전반경 확보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공간 확보 등으로 구성된다 도로 횡단면 설계 시 유연한 기준 적용과 업종별 교통특성 반영이 중요하다
산업단지별 업종 입출하량 차종 구성 등에 따라 통행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 토지이용계획과 연계된 도로계획이 요구된다 단지 내 일부 도로의 불법주차와 낮은 차량 통행률 등도 고려한 유연한 설계 필요성이 제기된다
향후 과제로는 통행발생량 산정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업종별 특성 분류와 원단위 기준 마련이 있으며 설계 기준을 산업도로 실정에 맞게 보완해 나가야 한다 이를 통해 충남 산업단지 조성 시 물류 효율성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선행연구 현황
제2장 산업단지와 도로 횡단구성의 고찰
1 산업단지 개요
2 도로 횡단구성의 개요
3 관련 법률 및 기존 연구 고찰
제3장 산업단지 내 도로 및 교통특성 분석
1 연구방법
2 산업단지 내 도로 및 교통특성 조사
3 문제점 종합 및 시사점
제4장 도로 횡단면 설계 개선 방안
1 기본 방향
2 도로 횡단면 구성안 제시
3 개선 방안
제5장 요약 및 정책적 제언
1 요약
2 활용효과 및 방안
3 향후 과제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