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남 농어촌지역의 여건 및 잠재력 진단
현안

충남 농어촌지역의 여건 및 잠재력 진단

기간
2010. 04. 08 ~ 2010. 04. 30
연구책임자
조영재
키워드
충남,농어촌,고령화,생활여건,농어업인력,향토산업,도농교류,지역발전역량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 농어촌지역의 여건 및 잠재력 진단_관리자_20160920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농어촌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며 농어업 인구의 고령화와 핵심 생산 가능 인구의 급감이 뚜렷하다 귀농과 다문화 인구의 유입은 증가 추세이나 전체 농어촌 인구 감소를 상쇄하지 못하고 있다 의료 복지 교육 인프라는 도시보다 열악하며 지역 간 격차도 크다 특히 보건의료 인력과 시설의 편중 노인복지 수요 증가에 대한 대응이 부족하다
기초생활 인프라는 도로 상하수도 주거환경 등 전반적으로 취약하며 경관 관리 및 환경보전 활동도 미흡하다 일부 지역은 정주기능이 약화되어 공동체 기능을 상실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전원마을 증가로 인해 농촌 내 공간 구조의 분화가 심화되고 있다 환경오염 문제는 방치된 폐기물과 가축분뇨 처리 미흡 에너지 자원화 부족 등으로 인해 심각한 수준이다
향토산업은 금산 인삼 서천 소곡주 등 지역 특산품 중심으로 육성되고 있으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기여도는 낮고 유통마케팅 기반도 부족하다 체험관광과 도농교류는 증가하고 있으나 인프라 부족 운영 체계 미비 등으로 지속성에 한계가 있다 전통시장은 대부분 영세하며 지역경제 거점으로서의 역할이 약화되고 있다
문화여가 부문은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인프라 절대 부족과 프로그램 미비가 주요 원인이다 내포문화 백제문화 등 고유 자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한 지역특화 콘텐츠 개발이 부족하며 문화향유 기회도 제한적이다 주민 요구는 생활 밀착형 문화시설 확충과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에 집중되어 있다
정책추진 체계는 중앙정부 주도의 단위사업 중심이며 충남도 차원의 종합적 농촌개발 기획 기능은 미흡하다 관련 사업은 여러 부서에 분산되어 추진되고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며 기획조정 기능을 강화하고 부서 간 통합적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주민참여 기반의 계획 수립과 추진 체계 정비가 요구된다
계획과제로는 보건복지 기반 확충 교육기회 확대 기초생활 기반 정비 농촌 산업 다각화 경관환경 개선 문화여가 인프라 확충 지역역량 강화 등이 제시된다 특히 도시민 유입과 지역 인재 육성 도농교류 활성화 녹색성장 기반 조성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어촌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목차

1 지역현황 및 특성
11 농어촌농어업인구 현황
12 보건복지교육 현황
13 기초생활 환경경관 현황
14 농산업 문화여가 현황
15 지역발전역량정책추진체계 현황
2 지역주민의 정책수요
21 개요
22 세부 분석결과
3 상위관련계획 검토
4 SWOT 분석 및 계획과제
41 SWOT 분석
42 계획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