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5주년 기념 세미나  [지역경쟁력과 씽크탱크] (김영표)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5주년 기념 세미나 [지역경쟁력과 씽크탱크] (김영표)

기간
2010. 06. 18 ~ 2010. 06. 18
키워드
Think Tank,정책,연구,독립성,미국,브루킹스,헤리티지,사회발전
다운로드

국내외 선진 Think Tank의 기능과 변화 전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연구원 개원기념세미나 홍보자료.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Think Tank는 20세기 초부터 정책전문가 그룹의 필요성에 따라 등장했으며 지식정보사회로 전환된 현대에는 정책이슈 대응을 위한 필수 조직으로 인식된다 특히 복잡하고 기술적인 이슈 해결을 위해 간결하고 명료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이 요구된다
유형은 정부지원형 대학연계형 민간형 등으로 구분되며 미국은 민간 주도 모델 일본은 관민협력형 프랑스는 국가주의적 체계를 따른다 한국은 정부지자체 출연 연구소 중심의 구조를 갖고 있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는 중도성향의 대표적 Think Tank로 경제외교거버넌스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며 교육 및 출판 기능도 갖춘다 연구자들은 객관성과 실용성에 기반한 정책연구를 수행하며 언론정계와 활발히 소통한다
미국 헤리티지재단은 보수정책 중심의 Think Tank로 레이건 정부의 정책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고 감세 자유시장 전통가치 등 보수 어젠다를 중심으로 전략적으로 자료를 즉시 제공하고 있다
성공적인 Think Tank의 조건으로는 연구의 질 독립성 영향력이 꼽히며 연구는 과거10 현재70 미래20로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된다 인력 구성은 정치적 다양성을 반영해 보수중도진보 간 균형을 유지하는 구조가 제안된다
이상적인 Think Tank는 정치적 중립성 학문적 엄격성 정책개발의 장기 비중 확대 유연한 조직 운영 활발한 소통과 홍보전략을 특징으로 한다 미국 브루킹스나 후버연구소가 그 모델로 제시된다

목차

1 선진사회와 Think Tank
2 국내 주요 Think Tank
3 외국 주요 Think Tank
4 선진 Think Tank의 동향
5 Think Tank의 바람직한 활동과 역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