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충청남도 주요하천의 수질유량모니터링 결과보고서(2011년)
정책지원

충청남도 주요하천의 수질유량모니터링 결과보고서(2011년)

기간
2011. 01. 01 ~ 2011. 12. 31
연구책임자
김영일
연구자
김홍수,이상진,정우혁,최정호,박상현,조병욱,문은호
키워드
수질,유량,모니터링,충청남도,금강수계,삽교호,하천,측정망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주요하천의 수질유량모니터링 결과보고서(2011년)_김영일_20150105_충청남도 주요하천의 수질유량모니터링 결과보고서(201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금강 삽교호 서해 안성천 수계에 속한 주요 하천 80개 지점에 대해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된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천별 수질 개선과 중점관리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기존 총량측정망 외 일반측정망에서는 유량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충남 전체 유역 특성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음을 지적하며 이번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충청남도는 4개 수계금강 삽교호 서해 안성천로 구성되며 총 유역면적은 8618이다 금강수계는 충남 전체의 448를 차지하고 삽교호수계193 서해수계324 안성천수계35 순이다 수계별 대표 하천으로는 금강 삽교천 광천천 안성천 등이 있으며 국가하천 9개소와 지방하천 527개소가 존재한다
모니터링은 수질 항목BOD COD SS TN TP과 유량을 월 1회 측정하였으며 수온과 pH는 현장에서 실시간 측정되었다 대상지점은 유역의 대표성 자치단체 경계 지류 말단부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으며 수질은 충남보건환경연구원이 유량은 충남물환경연구센터가 담당하였다 측정은 같은 지점 같은 시간대에 동시 수행되어 데이터 정합성을 확보하였다
수질 및 유량 분석 결과 금강수계는 일부 지점에서 BOD가 높은 수준을 보였고 서해수계는 전반적으로 유량이 적고 오염물질 정체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삽교호수계는 산업 및 생활하수의 영향이 크고 안성천수계는 수계 특성상 경기도 지역에서의 유입 영향을 크게 받는 구조였다 지역 간 수계 간 수질 및 유량의 편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 보고서는 수계별로 오염이 심각하거나 유량이 부족한 하천을 중점관리 대상으로 분류하고 금강삽교호서해안성천 수계별로 원인분석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금강수계는 유입 하천 정비 및 비점오염 저감이 핵심 전략이며 삽교호수계는 폐수처리장 개선 서해수계는 퇴적물 관리 및 정체 구간 정비가 중요하게 언급되었다
종합적으로 이번 모니터링은 충청남도의 하천관리에 있어 정량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향후 수질개선사업 유역정비계획 수질오염총량제 확대 적용 등 다양한 정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비총량 수계의 유량 데이터 확보는 큰 의미를 가지며 지속적이고 통합적인 유역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1 연구의 개요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내용
2 유역현황 조사
21 수계현황
22 하천현황
23 하천 수질측정망 현황
231 일반 및 총량측정망
232 수질자동측정망
3 하천유역 진단 및 평가
31 하천 수질 및 유량모니터링
311 하천 수질 및 유량모니터링 지점현황
312 수질분석 및 유량측정방법
32 하천 수질 및 유량 분석결과
321 하천 수질 및 유량의 시간적 변화 분석
322 하천 수질 및 유량의 공간적 분포특성 분석
323 하천 수질 및 유량평가
3231 하천 수질평가
3232 하천 유량평가
4 중점관리 대상하천의 선정 및 관리방안
41 중점관리 대상하천의 선정
411 중점관리 대상하천의 선정방법
412 중점관리 대상하천의 선정
4121 금강수계
4122 삽교호수계
4123 서해수계
4124 안성천수계
42 중점관리 대상하천의 관리방안
421 금강수계 중점관리 대상하천의 원인분석 및 관리방안
422 삽교호수계 중점관리 대상하천의 원인분석 및 관리방안
423 서해수계 중점관리 대상하천의 원인분석 및 관리방안
424 안성천수계 중점관리 대상하천의 원인분석 및 관리방안
부록 충청남도 수계별 하천 수질 및 유량 측정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