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공주시의 인구현황 및 변화
현안

공주시의 인구현황 및 변화

기간
2011. 09. 01 ~ 2011. 09. 30
연구책임자
조봉운
키워드
공주시,인구현황,인구변화,노령화지수,자연증가율,인구이동,출생률,인구예측
다운로드

공주시의 인구전망(예측).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시의 인구는 2000년 135589명에서 2010년 124930명으로 연평균 082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의 읍면지역에서 인구가 줄어든 반면 신관동은 택지개발로 인해 인구가 연평균 280 증가하였다 동지역은 전체 인구의 5193를 차지하며 중심 인구 밀집 지역으로 자리 잡았고 면지역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인구구조의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신관동 금학동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은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일부 면지역은 초고령사회 수준에 도달하였다
20002010년 사이 공주시 전체의 노령화지수는 6809에서 13296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탄천면과 신풍면은 각각 46198 46223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출생률 저하와 청장년층의 유출에 따른 인구 구조 왜곡에서 기인하며 표주박형 인구구조를 보이는 지역이 다수 존재한다 또한 공주시 전체의 자연증가율은 2010년 171로 음수이며 대부분 면지역에서는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초과하고 있다
인구이동 분석 결과 20012010년 동안 공주시는 총 10862명의 순유출을 기록하였으며 유구읍 장기면 옥룡동 등 대부분 지역에서 전출이 전입을 상회하였다 반면 신관동과 금학동은 순유입을 보이며 인구가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도심지역 중심의 정주 여건이 비교적 양호하고 외곽지역은 고령화와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인구 유출이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통근통학 분석에서는 공주시로 유입되는 인구가 유출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전광역시에서 공주로의 통근통학이 활발하다 대전 서구와 유성구에서 많은 인구가 공주시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는 공주가 생활권 연계 및 교육행정 중심지로서 일정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충남 내 통근통학은 큰 차이는 없으나 대부분 지역에서 공주시 유출이 더 많다
2030년 인구예측은 과거 추세연장법과 조성법을 활용하여 추정되었으며 수정지수함수법 기준으로는 100698명 조성법 기준으로는 119400명으로 예측된다 특히 조성법에 따르면 2030년 공주시의 노령인구비율은 3004로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의 이행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노년부양비도 5195까지 상승하여 생산연령 인구의 부담이 매우 커질 전망이다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는 지역경제 복지 주거정책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므로 고령사회에 대응한 정책 설계가 시급하다 농촌지역의 정주환경 개선 청년층 유입 전략 노인 복지 인프라 확대 등 통합적 인구정책이 필요하며 도심과 외곽 간의 인구 불균형 해소를 위한 균형발전 전략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목차

Ⅰ 공주시 인구부문 분석
1 인구 분포 및 현황분석
2 읍면동별 인구구조 분석
3 공주시 읍면동별 출생 및 사망 분석
4 공주시 읍면동별 인구이동 분석
5 공주시의 통근통학 현황
Ⅱ 공주시 2030년 인구예측
1 과거 추세 연장법에 의한 인구예측
2 조성법에 의한 인구 추정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