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소나무를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사례 및 분석
현안

소나무를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사례 및 분석

기간
2011. 09. 01 ~ 2011. 09. 23
연구책임자
신동호
키워드
소나무 관광상품,안면송,금강송 축제,소나무 효능,관광개발 사례,상품화 가능성,특허 및 브랜드화,정책제언
다운로드

F_1111_소나무를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사례 및 분석(신동호)(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안면송은 생태적역사적 가치가 높은 소나무로 태풍 등 자연재해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체계적 보존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생태적 가치 외에도 휴양 및 관광 자원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기능성 제품 및 관광상품 개발이 진행 중이다
안면도 자연휴양림은 대표적인 소나무 천연림으로 다양한 편의시설과 전시관을 갖추고 있으나 시설 노후화와 차별성 부족 등의 문제점도 지적된다 방문객은 수도권 고학력자가 주류이며 주로 자가용을 이용하여 단기 체류하는 양상을 보인다
소나무는 심리 안정 건강 증진 미용 항균 효과 등 다양한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방향제 보존제 등으로 상품화되어 있다 특히 항산화 항염 기능을 중심으로 한 화장품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울진의 금강송은 지역 특산물로 브랜드화에 성공한 사례로 송이축제 및 관광상품과 함께 특허와 상표 등록을 통해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금강송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전통문화와 연계된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기업 중심의 화장품 주류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나 중소기업은 자본과 마케팅 역량의 한계로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품의 표준화 부족과 품질 미흡 문제로 인해 소비자의 신뢰 확보도 과제이다
정책적으로는 안면송의 체계적 보존과 고유 브랜드 개발이 필요하며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한 의료교육형 관광 콘텐츠 도입 편의시설 개선 등을 통해 차별화된 지역 관광자원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안면송 관광상품 개발현황
1 안면송림의 가치 및 종조성과 군락특성
2 안면송의 관광상품 개발현황
Ⅲ 소나무를 활용한 관광 개발 및 상품화사례
1 소나무 효능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상품화 가능성
2 울진 금강송 관광 개발 사례
3 소나무를 활용한 상품화 사례
4 특허실용사례
Ⅳ 시사점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