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신성리 갈대밭은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다양한 식물과 조류 곤충 등이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건조화와 육상화가 진행 중이며 초본류 증가와 갈대 밀도 저하 관목 침입 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생물다양성을 위협하고 서식지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겨울과 여름철에 다양한 조류가 관찰되며 이들의 서식지로서의 가치가 높아 보전이 시급하다
산책로 조성사업은 관광객 편의를 위한 마사토 포장과 시설물 설치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갈대밭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마사토는 갈대 서식지를 건조하게 만들고 육상화를 가속화시켜 갈대 생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넓은 산책로는 갈대밭의 경관을 훼손하고 생물들의 은신처와 먹이처를 줄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관광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무분별한 시설 확장은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
갈대밭 보존을 위해서는 이미 조성된 구역과 미조성 구역을 구분하여 관리해야 한다 조성된 구역에서는 제한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고 미조성 구역은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생태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설치는 최소화하고 기존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데크형 산책로 등 대안을 적용해야 한다 이는 관광객에게도 자연에 대한 이질감 없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갈대밭 관리를 위해서는 수문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물데기와 주기적인 예초가 필요하다 물데기는 여름철 생물다양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겨울철 수위 조절은 퇴적 방지에 기여한다 특히 2년마다 갈대를 자르는 것이 생장 촉진 퇴적층 억제 조류 서식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된다 반면 태우기는 생태적 천이를 막는 효과는 있으나 생장 촉진과 조류 서식에는 부정적이다
결론적으로 신성리 갈대밭은 현재 생태적 위기를 겪고 있으며 잘못된 산책로 조성과 과도한 개발은 생물다양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전과 체험이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정책과 관리가 설계되어야 하며 자연의 자생력을 고려한 최소한의 개입이 권장된다 현장의 특성과 생물서식 환경을 반영한 맞춤형 관리전략이 필요하다
산책로 조성사업은 관광객 편의를 위한 마사토 포장과 시설물 설치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갈대밭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마사토는 갈대 서식지를 건조하게 만들고 육상화를 가속화시켜 갈대 생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넓은 산책로는 갈대밭의 경관을 훼손하고 생물들의 은신처와 먹이처를 줄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관광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무분별한 시설 확장은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
갈대밭 보존을 위해서는 이미 조성된 구역과 미조성 구역을 구분하여 관리해야 한다 조성된 구역에서는 제한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고 미조성 구역은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생태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설치는 최소화하고 기존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데크형 산책로 등 대안을 적용해야 한다 이는 관광객에게도 자연에 대한 이질감 없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갈대밭 관리를 위해서는 수문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물데기와 주기적인 예초가 필요하다 물데기는 여름철 생물다양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겨울철 수위 조절은 퇴적 방지에 기여한다 특히 2년마다 갈대를 자르는 것이 생장 촉진 퇴적층 억제 조류 서식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된다 반면 태우기는 생태적 천이를 막는 효과는 있으나 생장 촉진과 조류 서식에는 부정적이다
결론적으로 신성리 갈대밭은 현재 생태적 위기를 겪고 있으며 잘못된 산책로 조성과 과도한 개발은 생물다양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전과 체험이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정책과 관리가 설계되어야 하며 자연의 자생력을 고려한 최소한의 개입이 권장된다 현장의 특성과 생물서식 환경을 반영한 맞춤형 관리전략이 필요하다
목차
Ⅰ 연구개요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3 연구내용
4 활용방안
Ⅱ 갈대의 생태적 특성 및 기능
1 갈대의 생태적 특성
2 갈대의 생태적 기능
Ⅲ 신성리 갈대밭 현황 및 문제점
1 주요 식물종 서식 현황
2 주요 동물종 서식 현황
3 문제점
Ⅳ 산책로 조성사업으로 인한 영향
1 생태습지로서의 갈대밭에 미치는 영향
2 생태관광지로서의 갈대밭에 미치는 영향
Ⅴ 지속가능한 갈대밭을 위한 관리 대책
1 생태적 영향 최소화 방안
2 지속가능한 갈대밭을 위한 관리
Ⅵ 결론 및 요약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3 연구내용
4 활용방안
Ⅱ 갈대의 생태적 특성 및 기능
1 갈대의 생태적 특성
2 갈대의 생태적 기능
Ⅲ 신성리 갈대밭 현황 및 문제점
1 주요 식물종 서식 현황
2 주요 동물종 서식 현황
3 문제점
Ⅳ 산책로 조성사업으로 인한 영향
1 생태습지로서의 갈대밭에 미치는 영향
2 생태관광지로서의 갈대밭에 미치는 영향
Ⅴ 지속가능한 갈대밭을 위한 관리 대책
1 생태적 영향 최소화 방안
2 지속가능한 갈대밭을 위한 관리
Ⅵ 결론 및 요약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
-
정옥식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2017. 07. 12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