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갈등예방 및 조정을 위한 민간전문가 활용방안 연구
현안

충청남도 갈등예방 및 조정을 위한 민간전문가 활용방안 연구

기간
2011. 10. 25 ~ 2011. 12. 10
연구책임자
최병학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Ⅰ 머리말
지난 20여 년간 한국사회는 갈등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폭발적 증가를 경험하여 왔다 이는 1987년 이후 갈등표출의 기회가 급속히 개방되어 온 반면 갈등의 해결은 사회변화에 걸맞게 합리적 방식으로 발전되지 못한데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지난 20년간은 갈등표출의 기회의 개방에 따른 분쟁의 빈번한 발생과 합리적 갈등해결 및 예방 원리의 미정착이라는 이중적 어려움에 직면해있는 시기라 할 것이다
이는 국민들의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에 있어도 나타나고 있는바 여러 여론조사에서도 국민들은 한국사회의 갈등수준이 심각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사회발전이 저해될 수도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로 4점 척도를 기준으로 볼 때 한국사회의 갈등의 정도가 355점으로 나타나 국민들의 갈등수준에 대한 인식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09 11 심지어 10년 전과 비교하여 갈등이 심화되었다는 응답률이 98로 나타난 여론조사도 있다2009 7 KBS 조사 또한 집단 갈등이 사회발전을 저해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72로 나타난 조사도 있는가 하면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05 1년 전에 비해 우리 사회의 갈등수준에 대해 569의 국민들이 심각해 졌다고 응답한 조사도 있다고려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9
한편 국제적 비교를 통해서도 한국사회의 갈등수준이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바 우리나라 사회적 갈등의 순위가 OECD 27개 국가 중 터키 폴란드 슬로바키아에 이어 4번째로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주의 성숙도는 27개 국가 중에서 최하위에 랭크되어 있다는 조사결과도 있다삼성경제연구소 2009 6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