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격렬비열도의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고찰
현안

격렬비열도의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고찰

기간
2011. 12. 22 ~ 2012. 01. 30
연구책임자
권영현
키워드
격렬비열도,태안군,무인도,해식애,생태탐방섬,자연보존,해양생태계,스쿠버다이빙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격렬비열도의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고찰_관리자_20161011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격렬비열도는 충청남도 태안군 최서단에 위치한 무인도로 생태적 보존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세 개의 주요 섬과 아홉 개의 부속도로 이루어졌으며 과거 일부 주민이 거주한 적도 있었으나 현재는 무인화되어 있다 해식애와 암석해안이 발달해 있으며 가파른 절벽과 얕은 토양으로 인해 식생 형성은 제한적이다 북격렬비도에는 등대가 설치되어 항로 표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접근성은 낚싯배나 스킨스쿠버 전용 유선을 통해 가능하다
서격렬비도는 해국 밀사초 등 14종의 관속식물과 51종 이상의 해조류가 서식하며 괭이갈매기 등 조류가 대규모로 번식하고 있다 해안에는 다양한 해조류가 조간대별로 분포하고 있으며 무척추동물도 다수 서식하고 있다 특히 해저 암벽에는 수심별로 상이한 부착생물이 존재해 높은 생물다양성을 보인다 이 지역은 바다낚시와 해양 생물의 주요 서식지로 한류성 생물의 이주와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격렬비도는 해발 133m의 장타원형 섬으로 얕은 토심과 암반 노출로 인해 식생이 제한적이지만 다양한 초본 및 관목 식물이 분포한다 해안 암벽에는 원추리 개밀 등이 우점하며 갯까치수염 노랑장대 등 특정 식물도 확인되었다 조류는 괭이갈매기를 비롯한 11종이 곤충은 15종이 보고되었으며 희귀종이나 멸종위기종은 발견되지 않았다 수중 환경은 생물서식에 적합하여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분포하며 일부 미기록종도 발견되었다
자연환경 평가 결과 격렬비열도는 생태지형적으로 높은 보전가치를 지닌 1등급 지역으로 판단되었다 육상곤충과 해양무척추동물 해조류 등의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으며 해안 절경과 더불어 인간의 간섭이 적은 점이 큰 강점이다 보전 가치와 함께 제한적 이용을 전제로 한 생태탐방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탐방로 조성 조류 관찰 스노클링과 스킨스쿠버 등의 체험형 관광이 제시되었다
개발 가능한 지역은 북격렬비도로 과거 주민이 거주했던 이력이 있어 시설 설치가 가능하나 동서격렬비도는 토지 소유와 접근성 문제로 현실적 제약이 크다 탐방객 수 제한 피어형 접안시설 설치 인공섬을 통한 편의시설 분산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폐기물은 왕복 페리를 통해 육상으로 운반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생태 훼손을 최소화하는 관광 방식이 강조되었다
격렬비열도는 스쿠버다이빙 명소로도 주목받고 있으며 다이빙 수요에 대응해 인공섬을 조성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이는 초보자 안전 확보와 다이빙 인프라 조성 관광객 유입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방파제를 갖춘 만 형태로 인공섬을 조성하고 교육시설과 쉼터를 마련하면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 유치도 가능하다 이는 태안의 관광자산 확장에도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다

목차

I 섬의 위치와 면적
II 자연 및 지형
III 생태현황
1 서격렬비열도
2 동격렬비열도
IV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