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충남 농업농촌은 농산물 가격 하락 고령화 정주환경 악화 등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반면 도시민의 인식 변화와 귀농귀촌 증가로 농촌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어 변화에 대한 체계적 대응이 요구된다
연구는 충남 농정의 비전 수립과 실행계획 마련을 목표로 했으며 4대 핵심부문친환경농업 내발적 발전 6대 품목 거버넌스에 따라 10개 세부분야로 전략을 설정하고 실천과제를 도출했다 추진 과정에서 도민 전문가 정책수립자가 함께 참여한 점이 특징이다
비전은 지속가능한 충남 농어업농어촌 사회 실현이며 3대 목표는 소득 및 삶의 질 향상 안전한 먹거리 보장 도농공생 공동체 조성이다 추진 전략으로는 지역순환 식품체계 구축 내발적 발전 주민 역량 강화가 제시되었다
세부 분야별로는 친환경고품질 농업 기반 확립 로컬푸드 및 공공급식 확대 지속가능한 축산업 육성 산림자원 활용 청정수산 경쟁력 강화 등의 전략과 사업이 담겼다 또한 6차 산업화 사회서비스 확대 도농교류 지역리더 양성 등도 함께 포함됐다
농정 방향은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행정주도에서 민관협력으로 대외경쟁력에서 지역연대로 전환을 꾀한다 기존 계획과 달리 실행가능한 과제를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교육복지환경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포함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했다
충남 농정의 체계는 단순한 농업생산 지원을 넘어 지역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지역발전 전략으로 기능하며 실천과제 중심의 정책 실행을 통해 3농혁신 실현의 기초를 마련하고 있다
연구는 충남 농정의 비전 수립과 실행계획 마련을 목표로 했으며 4대 핵심부문친환경농업 내발적 발전 6대 품목 거버넌스에 따라 10개 세부분야로 전략을 설정하고 실천과제를 도출했다 추진 과정에서 도민 전문가 정책수립자가 함께 참여한 점이 특징이다
비전은 지속가능한 충남 농어업농어촌 사회 실현이며 3대 목표는 소득 및 삶의 질 향상 안전한 먹거리 보장 도농공생 공동체 조성이다 추진 전략으로는 지역순환 식품체계 구축 내발적 발전 주민 역량 강화가 제시되었다
세부 분야별로는 친환경고품질 농업 기반 확립 로컬푸드 및 공공급식 확대 지속가능한 축산업 육성 산림자원 활용 청정수산 경쟁력 강화 등의 전략과 사업이 담겼다 또한 6차 산업화 사회서비스 확대 도농교류 지역리더 양성 등도 함께 포함됐다
농정 방향은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행정주도에서 민관협력으로 대외경쟁력에서 지역연대로 전환을 꾀한다 기존 계획과 달리 실행가능한 과제를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교육복지환경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포함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했다
충남 농정의 체계는 단순한 농업생산 지원을 넘어 지역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지역발전 전략으로 기능하며 실천과제 중심의 정책 실행을 통해 3농혁신 실현의 기초를 마련하고 있다
목차
Ⅰ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1 공간적 범위
2 시간적 범위
3 내용적 범위
3 연구의 방법
1 제1단계 연속 워크숍 개최
2 제2단계 TF 구성
4 연구의 흐름
Ⅱ 제2장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검토
1 2020 충남 농어업농어촌 발전계획
2 제2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
3 민선 5기 충남비전
4 본 연구의 특징
Ⅲ 제3장 충남 농어업농어촌의 현황
1 농어업농어촌에 대한 국민의 인식 및 요구 변화
2 충남 농어업농어촌의 현실
1 생활공간삶터
2 경제활동 공간일터
3 환경 및 경관 공간쉼터
4 지역의 역량
Ⅳ 제4장 충남 농어업농어촌의 비전과 전략
1 농어촌개발 방식의 전환 요구 및 농어촌의 중요성
1 농어촌개발 방식의 전환 요구
2 농어업농어촌의 중요성
2 충남 농정의 비전 목표 및 전략
1 비전
2 목표
3 3대 추진 전략
3 충남 농정의 특징
Ⅴ 제5장 세부분야별 추진방안
1 친환경고품질 농업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2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의 구축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3 선진 축산업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4 산림자원 육성활용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5 청정수산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6 살기 좋은 희망 마을만들기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7 농어촌 6차 산업화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8 농어촌 사회서비스 확충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9 도농교류와 농어촌 응원운동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10 지역리더 양성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참고 문헌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1 공간적 범위
2 시간적 범위
3 내용적 범위
3 연구의 방법
1 제1단계 연속 워크숍 개최
2 제2단계 TF 구성
4 연구의 흐름
Ⅱ 제2장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검토
1 2020 충남 농어업농어촌 발전계획
2 제2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
3 민선 5기 충남비전
4 본 연구의 특징
Ⅲ 제3장 충남 농어업농어촌의 현황
1 농어업농어촌에 대한 국민의 인식 및 요구 변화
2 충남 농어업농어촌의 현실
1 생활공간삶터
2 경제활동 공간일터
3 환경 및 경관 공간쉼터
4 지역의 역량
Ⅳ 제4장 충남 농어업농어촌의 비전과 전략
1 농어촌개발 방식의 전환 요구 및 농어촌의 중요성
1 농어촌개발 방식의 전환 요구
2 농어업농어촌의 중요성
2 충남 농정의 비전 목표 및 전략
1 비전
2 목표
3 3대 추진 전략
3 충남 농정의 특징
Ⅴ 제5장 세부분야별 추진방안
1 친환경고품질 농업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2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의 구축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3 선진 축산업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4 산림자원 육성활용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5 청정수산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6 살기 좋은 희망 마을만들기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7 농어촌 6차 산업화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8 농어촌 사회서비스 확충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9 도농교류와 농어촌 응원운동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10 지역리더 양성
1 현황 및 문제점
2 기본 추진전략
3 민선 5기 실천과제
참고 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유학열
충남농어업 6차산업화센터 개소기념 세미나 자료집 (김용렬,유학열,정제민) 2011. 06. 09
제1회 충남현장포럼(유학열) 2016. 03. 18
충남연구원-국책연구기관 간 상생·협력 모색 세미나(유학열, 송미령) 2015. 05. 28
충남 6차산업화 중간지원협의체 출범식(유학열) 2014. 04. 23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열린충남51호 2010.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