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민선5기 충남 농정의 과제와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연속 워크숍 제2회 (김정섭,유정규)
연구정책조성/워크숍

민선5기 충남 농정의 과제와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연속 워크숍 제2회 (김정섭,유정규)

기간
2011. 02. 24 ~ 2011. 02. 24
키워드
귀농,귀촌,충청남도,인구감소,농촌정책,지역사회,정착지원,농업인력
다운로드

20110224충남농정 세미나 발제자료_김정섭.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10224충남농정 세미나 발제자료_유정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농촌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지역사회 재생산 능력이 위협받고 있으며 이는 경제활동 위축과 서비스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귀농귀촌 정책은 이러한 악순환을 끊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제시된다
최근 충남의 도시농촌 인구 유입은 점차 증가 추세를 보이며 유출과 균형을 이루고 있다 특히 도농통합시로의 귀촌이 증가했고 귀촌 인구 중 40세 이상 비율이 높아지면서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따른 정착 가능성이 커졌다
전국 귀농 가구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충남의 비중도 상승 중이다 귀농 인구는 신규 농업 인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고 이들은 농업 외에도 지역사회 기여 활동을 통해 지역 재생에 기여하고 있다
귀농귀촌 정책은 단순한 인구 유치보다는 지역사회 통합과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민간 조직 참여와 지역 맞춤형 실행 메커니즘이 중요하다 진안군은 귀농귀촌 활성화센터를 통해 좋은 사례를 제시했다
정책 투입과 수요 예측 간의 균형이 중요하며 연성적이고 섬세한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하드웨어 중심 정책은 효과에 한계가 있으며 지역사회의 환대 분위기 조성과 중간 조직을 통한 보살핌 정책이 강조된다
귀농귀촌 정책은 농촌지역 발전 정책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주민의 다양한 재능과 역량을 지역 사회 발전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귀농귀촌이 지역 활성화의 촉매로 작용할 수 있다

목차

1 한국 농촌의 인구 문제와 실태
2 충청남도의 귀농 귀촌 인구 변화 추이
3 중앙정부와 충청남도 지방자치단체의 귀농 귀촌 관련 정책
4 귀농 귀촌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5 충청남도 귀농 귀촌 정책의 방향과 과제
참고문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