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사회적경제연구회 제5차 워크숍 (류병윤,최혁진)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사회적경제연구회 제5차 워크숍 (류병윤,최혁진)

기간
2011. 06. 08 ~ 2011. 06. 08
키워드
사회적경제,사회적기업,지역밀착,대구경북,원주,협동조합,취약계층,고용
다운로드

5차 사회적경제연구회 자료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대구경북 사회적경제의 이해 -사회적기업 중심으로- (류병윤).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 원주협동사회경제 네트워크 (최혁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참고자료]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의 어제, 오늘, 내일 (최혁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대구경북 사회적경제는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기업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지역 밀착성과 취약계층 고용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사회적기업은 고용과 매출보다는 지역사회 기여도가 중요한 지표다
대구경북은 고령화 저소득층 증가 산업구조 취약 청년 인구 이탈 등 사회경제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이러한 문제 해결의 방안으로 사회적경제 활성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사회적기업은 돌봄 교육 문화 환경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이며 대다수가 소규모로 20인 이하 고용 기업이 많고 고용의 78 이상이 취약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 밀착형 사회적기업은 원자재와 인력을 지역 내에서 조달하고 서비스와 제품도 지역 주민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 선순환과 공동체 회복에 기여하고 있다
한계로는 정부 지원의 일회성 고용안정성 부족 매출 규모의 한계 재정 자립의 어려움 등이 지적되며 공공시설 위탁 등 실질적 지원 확대와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원주 사례는 협동조합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 공동체 회복과 자립경제를 실현한 모범적 모델로 평가되며 대구경북 사회적경제도 협업 교육 정책 기반 강화로 지속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목차

발표원고
1 대구경북 사회적경제의 이해
2 원주협동사회경제 네트워크
참고자료
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의 어제 오늘 내일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