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4회 워크숍 -횡성 꾸러미 네트워킹 사례와 마을사업화 방안 (윤종상 / 텃밭 영농조합법인 대표) * 해외 CSA 사례가 주는 함의 (허남혁 /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4회 워크숍 -횡성 꾸러미 네트워킹 사례와 마을사업화 방안 (윤종상 / 텃밭 영농조합법인 대표) * 해외 CSA 사례가 주는 함의 (허남혁 /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기간
2011. 09. 01 ~ 2011. 09. 01
키워드
산내,꾸러미,커뮤니티비즈니스,귀농,유기농,CSA,지역경제,자립
다운로드

6.지리산 산내 어머니꾸러미 사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4.완주 건강밥상꾸러미 사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전체 프로그램(꾸러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1.횡성 꾸러미 네트워킹 사례와 마을사업화 방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해외 CSA 사례가 주는 함의.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3.전여농 언니네텃밭 사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5.춘천 봄내살림 사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지리산 산내 꾸러미사업은 지역 주민이 지역 자원을 활용해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커뮤니티 비즈니스로 시작되었으며 농업 기반의 마을 공동체 회복을 목표로 한다
상품은 제철농산물 가공식품 반찬류 등으로 구성되며 대구와 산내 지역을 중심으로 직배 및 택배로 배송된다 생산자에게 수익의 83가 배분되는 구조다
2010년부터 준비되어 2011년 본격 출하되었고 구성원은 실무진 13명 생산팀 21명 고객 약 170명으로 월매출 1천만 원 규모의 영농조합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귀농자가 다수 참여해 사업성은 높지만 공동체성과 제품 차별성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었고 소비자 참여가 낮은 CSA 모델의 한계도 드러났다
사업의 발전을 위해 소비자 조직화 공동체 기반 강화 마케팅과 품질관리 전문성 확보 제품 차별화가 요구된다 농민 주도에서 공동체 주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정책적 지원으로는 생산기반 조성 마케팅 역량 강화 소비자 조직과의 연계 로컬푸드 기반 확충 등이 제시되며 지역 순환형 먹거리 체계 구축이 궁극적 방향이다

목차

1 사업 동기 및 목표
2 사업모델
3 사업현황
4 특징 및 평가
5 발전 방향 및 정책적 지원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