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1991년 지방의회 선거와 1995년 단체장을 포함한 동시지방선거를 통하여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재 시행되었다 노태우 정부 때는 지방자치법을 전면 개정하여 지방자치에 대한 제도적인 틀을 마련하였고 문민정부 시대는 단체장까지의 전면적인 지방선거를 실시하여 외형적으로 완전한 지방자치를 실현하였다 그리고 국민의 정부 이후 지방이양추진위원회 지방분권촉진위원회 등을 통해 지방분권을 추진하고 있다
지방분권은 실질적 지방자치 실현을 위해 중앙권한의 지방이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최근 지방자치에 관한 논의는 실질적 지방자치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때 지방분권이라는 개념과 큰 차이를 두지 않는다 이러한 지방분권은 최근의 논의를 살펴보면 민주성과 효율성이라는 행정이념의 양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효율성 관점은 지방정부를 국가경쟁력 강화 수단으로 보는 시각을 의미하며 민주성 관점은 지방자치의 전통적 개념으로서 보충성원리에 의한 주민자치의 실현이라는 측면이다
이후 생략
목차
I문제제기
II선행연구 고찰
III연구 분석틀
IV설문결과 분석
V결론
[토론요지1] 최용환 연구원 충북발전연구원
[토론요지2] 최진하 정책특보 충남도청
[붙임자료] 읍면동 주민자치회 설치방안 연구 소진광곽현근배준구이종수
I들어가는 말
II근린자치 활성화를 위한 논거
III우리나라에 적합한 주민자치회 모형
IV맺는 말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성호
「충남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제4차 워크숍 및 비상임연구위원 공동참여연구 발표·토론회 (김필두,홍정순,김성호,김찬배,길병옥,이상선,이준건) 2012. 08. 02
충남연구원과 대전·충남지방자치학회 공동기획세미나:자치분권형 헌법개정과 충남도 자치경찰제도 도입 방안의 탐색(김성호,최진혁,양영철,안영훈) 2016. 12. 19
「충남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방안」제1차 워크숍 '한국의 근린자치 현황과 대안 모색' (소진광,김성호,이상선,이준건,정혁수) 2012. 05. 02
충청남도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방안 연구 2012. 02. 01
서천군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수립 및 타당성 조사연구 2012. 07. 06
-
김효주
예산군의 효행과 우애(지역정체성 확립과 자원활용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2002. 10. 16
「충남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제4차 워크숍 및 비상임연구위원 공동참여연구 발표·토론회 (김필두,홍정순,김성호,김찬배,길병옥,이상선,이준건) 2012. 08. 02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11회 워크숍 (배대순,박미진,황민호) 2012. 07. 20
제6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와 귀농·귀촌' (차광주,이상구,이기왕,조남준,유학열,이수행) 2012. 07. 06
충청남도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3차 워크숍 (하승수, 곽현근) 2012. 06. 18
제5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에 있어서 자활영역의 역할과 과제' (김정원,노병갑,박찬무,김학실) 2012. 06. 13
-
박진도
대안농업체계의 모색 -생산과 소비의 연대- (박진도,윤병선,김형근,김흥주 / 토론 김정택,이창한) 2011. 07. 19
협동조합을 통한 지역사회발전 (박진도,박상우,정현희,장효안,최영근,고승한,유정규,송두범) 2013. 10. 1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열린충남52호 2010. 09. 01
열린충남55호 2011. 06. 01
- 정봉희
-
최병학
실효성 있는 금강살리기 갈등예방 및 관리방향과 과제 (조용현,최정권,최병학) 2010. 02. 02
새롭게 도약하는 계룡시의 비전·전략구도 -소통·신뢰·창조의 '도약시정'구현- (최병학) 2013. 09. 05
열린충남58호 2012. 03. 01
열린충남32호 2005. 09. 01
열린충남29호 2004. 12. 01
열린충남16호 1999.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