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합덕읍 발전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
- 기간
- 2011. 05. 17 ~ 2011. 12. 12
- 연구책임자
- 윤정미
- 키워드
- 주민참여,도시재생,한평공원,생활환경개선,합덕제,가톨릭문화,전통시장,주차공간
- 다운로드
-
[홈페이지원문공개]합덕읍 발전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_관리자_20160822_9. 부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합덕읍 발전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_관리자_20160822_10. 참여연구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합덕읍 발전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_관리자_20160822_2. 목차.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합덕읍 발전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_관리자_20160822_3. 1장.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합덕읍 발전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_관리자_20160822_4. 2장.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합덕읍 발전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_관리자_20160822_5. 3장.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합덕읍 발전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_관리자_20160822_6. 4장.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한평공원 조성은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대상지 선정부터 디자인 시공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에서 주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추진됨 공원 조성은 단순한 물리적 정비를 넘어 주민 간 소통 공동체 의식 회복의 장으로 기능하며 도시 공간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함
사례로 제시된 부평 문화의 거리 동해 봉정마을 순천 구도심 등은 각기 다른 지역 여건 속에서 주민주도형 사업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보여주며 합덕의 향후 도시재생 방향에 대한 구체적 모델로 작용함 공공성과 상업성 종교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지역 특수성도 분석됨
합덕의 주요 과제로는 인구 유입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 관광자원 확충 천주교 성지와의 연계 등이 지적되며 주민 인터뷰를 통해 리더의 부재 주민 갈등 참여 저조 등이 도시재생의 장애 요인으로 나타남 특히 성지순례 관광과 연계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이 반복적으로 언급됨
천주교 관계자들은 순례객 유입을 위한 안전한 보행환경과 매력적인 볼거리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종교를 문화자산으로 활용하는 접근법에 긍정적 태도를 보임 단 천주교적 요소의 무분별한 활용은 경계해야 하며 주민과의 협의 이해와 존중이 전제되어야 함
종합적으로 합덕 도시재생은 주민 주도의 참여구조 확립 공동체 의식 회복 생활환경 개선 천주교 역사자원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음 다양한 주체 간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실행과제 도출과 제도적 정비가 요구됨
목차
II 합덕읍 지역현황과 여건분석
1 일반현황
2 도시특성
3 기반시설현황
4 지역자원과 특화요소
III 중심시가지 활성화 전략
1 기본방향
2 공간구상
3 기능배치
4 경관 및 디자인 방향
5 중심시가지 정비방안
IV 합덕읍 발전과제 도출
1 공간구조 재정립
2 교통체계 개선
3 지역경제 활성화
4 문화관광자원 활용
5 주거환경 개선
6 주민참여 기반 조성
V 추진전략 및 실천계획
1 추진전략
2 재원조달방안
3 운영 및 관리체계
4 단계별 실천계획
부록1 주민참여사례
부록2 지역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