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현재 충청남도에서는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을 지역밀착형으로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
사회적 기업은 정부실패와 시장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임 특히 휴먼 서비스 분야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성과 서비스의 비가소성돌려받지 못함 때문에 시장의 실패가능성이 매우 높음 사회적 기업은 이렇게 정부와 시장 사이에서 틈새를 찾아내고 역할을 찾아내고자 한다면 정부 역시 이 사회적 기업이 잘 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임
이 글은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의 요건들을 살펴보고자 필요기반의Needsbased 접근방식과 자산기반의Assetbased 접근방식 그리고 자산기반의 접근방식의 핵심요소인 공동체 자산Community Asset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공동체자산을 기반으로 한 바람직한 사회적 기업의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지역 내 자생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함
이후 생략
사회적 기업은 정부실패와 시장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임 특히 휴먼 서비스 분야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성과 서비스의 비가소성돌려받지 못함 때문에 시장의 실패가능성이 매우 높음 사회적 기업은 이렇게 정부와 시장 사이에서 틈새를 찾아내고 역할을 찾아내고자 한다면 정부 역시 이 사회적 기업이 잘 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임
이 글은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의 요건들을 살펴보고자 필요기반의Needsbased 접근방식과 자산기반의Assetbased 접근방식 그리고 자산기반의 접근방식의 핵심요소인 공동체 자산Community Asset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공동체자산을 기반으로 한 바람직한 사회적 기업의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지역 내 자생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함
이후 생략
목차
1 서론
2 분석방법 및 개념정립
3 자산기반형 사회적 기업의 역할
4 결론 지방정부의 역할 모색
2 분석방법 및 개념정립
3 자산기반형 사회적 기업의 역할
4 결론 지방정부의 역할 모색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종수
충남연구원-공주대학교 공동학술대회 및 지역리더 포럼(지수걸, 유정규, 김종수, 이재영) 2015. 06. 03
충남발전연구원- 한겨레경제연구소 협약체결 및 심포지엄(서재교,김종수) 2015. 04. 01
사회적경제기본법에 따른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 의정토론회(이인우) 2015. 09. 11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충남연구원-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행복컨퍼런스(유정식,최슬기,김종수,고승희,한귀영) 2015.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