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충청남도는 2010년 말 기준 일반상수도 보급률이 824로 물복지 차원에서 전국 최하위 수준이므로 물복지 현황분석을 통하여 물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과제의 제시가 필요함
충청남도의 물복지 현황 상수도 보급율은 824로 전국 평균 953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임 정수시설 개소수19개소 및 시설용량189750m3일 모두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임 내구연한이 경과한 경년관의 비율이 163로 전국 평균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며 충청남도 자치단체 가운데 당진시가 464로 가장 높아 관망관리를 위한 대책수립이 시급히 요구됨 상수도 누수율은 152로 전국 평균보다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부여 예산 서천지역 누수율이 충청남도 평균 누수율보다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나 누수율 저감을 위한 상수관망정비사업 등의 추진이 시급함 광역상수도 비율이 833로 전국 평균보다 월등히 높아 상수도의 외부의존적 형태가 강한 경향을 보임 수도요금 현실화율은 686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으며 천안이 880로 가장 높았고 홍성이 411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임
전국 최하위 수준인 충청남도의 물복지 향상을 위해 ①상수도 보급율 향상을 위한 지방상수도의 지속적인 확충 ②정수처리시설의 운영효율화 ③상수관망정비사업의 적극적인 추진 ④수도요금의 현실화를 통한 물절약 정책의 추진 ⑤기후변화에 대비한 물 자치권 확립 ⑥지하수관리방안 수립 등의 정책추진이 필요함
이후 생략
충청남도의 물복지 현황 상수도 보급율은 824로 전국 평균 953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임 정수시설 개소수19개소 및 시설용량189750m3일 모두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임 내구연한이 경과한 경년관의 비율이 163로 전국 평균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며 충청남도 자치단체 가운데 당진시가 464로 가장 높아 관망관리를 위한 대책수립이 시급히 요구됨 상수도 누수율은 152로 전국 평균보다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부여 예산 서천지역 누수율이 충청남도 평균 누수율보다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나 누수율 저감을 위한 상수관망정비사업 등의 추진이 시급함 광역상수도 비율이 833로 전국 평균보다 월등히 높아 상수도의 외부의존적 형태가 강한 경향을 보임 수도요금 현실화율은 686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으며 천안이 880로 가장 높았고 홍성이 411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임
전국 최하위 수준인 충청남도의 물복지 향상을 위해 ①상수도 보급율 향상을 위한 지방상수도의 지속적인 확충 ②정수처리시설의 운영효율화 ③상수관망정비사업의 적극적인 추진 ④수도요금의 현실화를 통한 물절약 정책의 추진 ⑤기후변화에 대비한 물 자치권 확립 ⑥지하수관리방안 수립 등의 정책추진이 필요함
이후 생략
목차
1 서론
2 충청남도 물복지 현황
3 물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과제
4 결론
2 충청남도 물복지 현황
3 물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과제
4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영일
시군 자체수원 확보 실행계획 수립을 위한 토론회(CNI세미나2017-039) (김영일) 2017. 02. 07
2016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고승희,김영일,김용운) 2016. 04. 11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충청남도 수자원 관리 토론회(변희룡,신동헌,김영호,강형식,김영일) 2015. 11. 25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홍보를 위한 특집다큐 제작 관계자 토론회(CNI세미나2017-116) (김영일) 2017. 08. 28
가뭄에 대비한 금강유역통합관리와 상수원 다원화 방안(김영일, 허재영) 2015.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