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연구는 기존 전원주거단지의 정주실태 조사분석하여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귀농귀촌정책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의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와 일반전원주거단지를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는 기존마을 연접지역에 일반전원주거단지는 읍면소재지 연접지역에 입지하고 있어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 보다는 일반전원주거단지가 거점지역으로부터의 접근성과 생활편의성을 더 고려하여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음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전원주거단지 보다는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비교적 최근에 조성된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가 입주자의 수요에 잘 대응한 물리적 기반조성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음
전원주거단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었던 중요한 요인으로는 자연환경 및 전원경관과 주택시설 및 주거환경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여건과 경제적 활동여건에 대한 응답은 낮게 나타나 농촌지역의 정주환경측면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 및 경제적 조건은 전원주거단지 입주에는 크게 고려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음
이후 생략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는 기존마을 연접지역에 일반전원주거단지는 읍면소재지 연접지역에 입지하고 있어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 보다는 일반전원주거단지가 거점지역으로부터의 접근성과 생활편의성을 더 고려하여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음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전원주거단지 보다는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비교적 최근에 조성된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가 입주자의 수요에 잘 대응한 물리적 기반조성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음
전원주거단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었던 중요한 요인으로는 자연환경 및 전원경관과 주택시설 및 주거환경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여건과 경제적 활동여건에 대한 응답은 낮게 나타나 농촌지역의 정주환경측면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 및 경제적 조건은 전원주거단지 입주에는 크게 고려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음
이후 생략
목차
1 서론
2 조사개요 및 분석틀
3 전원주거단지 정주실태 분석
4 결과 및 고찰
2 조사개요 및 분석틀
3 전원주거단지 정주실태 분석
4 결과 및 고찰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영재
공주발전 대토론회(이소영,조영재,양광호) 2016. 04. 29
제 1회 한중 3농 포럼(조영재,탕빙위안,청야오) 2015. 09. 14
충남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 충남 마을연구 사례 및 향후 연구과제(김필동,유보경,조영재) 2015. 04. 17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43호 2008. 06.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