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학교급식은 로컬푸드의 실현과 충남의 내발적 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정책수단의 하나로서 친환경 로컬푸드 학교급식의 달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충남형 학교급식지원센터의 모델충남형 모델을 확정하는 것이 정책적으로 시급하다 현재 학교급식 식재료 조달관행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충남 로컬푸드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순환식품체계의 구축을 위해 그리고 친환경 무상급식 정책의 완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충남형 모델은 기존 학교급식 식재료 조달과정에 대하여 기존에 식재료 공급업자가 수행했던 기능을 센터를 중심으로 공적으로 재배치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지역 차원에서 공적인 식재료 공동조달 체계의 새로운 구축 센터에 의한 식재료 상품 품질기준 설정 상품목록의 제공 및 관리 배달서비스의 제공 관련 기록의 실시간 공개 등이 핵심 요소이다
하지만 충남도가 향후 각 시ㆍ군에 확산시키고자 하는 당진 학교급식지원센터당진모델는 충남형 모델로 자리잡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입찰관행을 일소했다는 측면에서는 성공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학교급식 식재료 조달관행의 문제점들을 해소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시설 측면이나 운영 측면에서 고비용 구조이다 기존 업자들을 포용하지 못하는 구조탓에 이들의 생계를 위협함으로써 일부 갈등을 유발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전품목 공급이라는 센터의 목표를 다른 지역에서 달성하기 어려워졌다
이후 생략
하지만 충남도가 향후 각 시ㆍ군에 확산시키고자 하는 당진 학교급식지원센터당진모델는 충남형 모델로 자리잡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입찰관행을 일소했다는 측면에서는 성공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학교급식 식재료 조달관행의 문제점들을 해소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시설 측면이나 운영 측면에서 고비용 구조이다 기존 업자들을 포용하지 못하는 구조탓에 이들의 생계를 위협함으로써 일부 갈등을 유발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전품목 공급이라는 센터의 목표를 다른 지역에서 달성하기 어려워졌다
이후 생략
목차
1 들어가며 학교급식지원센터 정책의 배경
2 충남형 모델 제시
3 당진시 학교급식지원센터의 과제와 개선점
4 나가며
2 충남형 모델 제시
3 당진시 학교급식지원센터의 과제와 개선점
4 나가며
연구자의 다른 자료
-
허남혁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8회 워크숍(허남혁) 2012. 02. 10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11년 해외출장보고서 통합본 2011. 01. 01
충청권로컬푸드 지역 모임교류회 8차 워크숍 (허남혁,하재찬) 2012. 02. 10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