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우리나라는 지난 1970년대 이후 시가지 확장에 따른 녹지공간의 양적 감소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고 지금까지도 시가지 외곽에는 각종 도시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향후 도시녹지의 감소는 훨씬 더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이미 국내ㆍ외에서는 녹지체계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데 특히 이러한 녹지체계구축은 도심 내ㆍ외곽 야생 동ㆍ식물의 순환을 위한 이동통로 제공 및 서식환경 개선 뿐 아니라 도시민의 휴양공간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되고 있다Harris 1984 Wilcox et al 1985 Brown et al 1991 Jongman and Pungetti 2004
지금까지 실현된 해외의 유명녹지체계를 살펴보면 공원녹지체계로 유명한 보스톤의 경우 점적 단위시설 차원으로 인식되었던 공원을 도시 전체의 차원으로 확충할 수 있는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였다김귀곤 1994 또한 훌륭한 가로체계로 공원들을 결합한 캔사스오병태와 최기호 1996시는 공원과 이들을 연결하는 공원도로뿐 아니라 광장을 비롯한 주요지점들을 포함하여 도시의 자연환경과 인공적인 환경요소들을 결합함으로써 보다 도시성을 강하게 표현하였으며 동경의 경우는 수계축을 이용한 녹지체계를 형성하였다서울연구원 1997
이후 생략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이미 국내ㆍ외에서는 녹지체계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데 특히 이러한 녹지체계구축은 도심 내ㆍ외곽 야생 동ㆍ식물의 순환을 위한 이동통로 제공 및 서식환경 개선 뿐 아니라 도시민의 휴양공간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되고 있다Harris 1984 Wilcox et al 1985 Brown et al 1991 Jongman and Pungetti 2004
지금까지 실현된 해외의 유명녹지체계를 살펴보면 공원녹지체계로 유명한 보스톤의 경우 점적 단위시설 차원으로 인식되었던 공원을 도시 전체의 차원으로 확충할 수 있는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였다김귀곤 1994 또한 훌륭한 가로체계로 공원들을 결합한 캔사스오병태와 최기호 1996시는 공원과 이들을 연결하는 공원도로뿐 아니라 광장을 비롯한 주요지점들을 포함하여 도시의 자연환경과 인공적인 환경요소들을 결합함으로써 보다 도시성을 강하게 표현하였으며 동경의 경우는 수계축을 이용한 녹지체계를 형성하였다서울연구원 1997
이후 생략
목차
1 녹지체계 도입 및 보행공간으로의 활용
2 보행공간조성 및 보행활동증진 조건
3 녹지체계와 보행공간 통합을 위한 과제
4 보행공간을 반영한 녹지체계 유도 방법
5 실천방안 및 과제
2 보행공간조성 및 보행활동증진 조건
3 녹지체계와 보행공간 통합을 위한 과제
4 보행공간을 반영한 녹지체계 유도 방법
5 실천방안 및 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
동일한 유형의 자료
-
-
출판/해외출장(해외출장보고서)고령자를 위한 안전한 교통환경 및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디자인 개발 선진지 사례조사(일본 나고야, 다카야마, 도야마, 가나자와)2018. 06. 2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