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본 연구는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도시권과 농어촌권을 구분하고 고령자 및 비고령자의 여가통행시간 영향요인의 이질성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11년 가구통행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도심 및 농어촌권역의 통행자특성을 추출하고 도심 및 농어촌권의 지역경제적특성 및 교통환경적특성을 활용하여 PLSPartial least square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도시권과 농어촌권 고령자의 여가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는 버스배차간격 버스노선 수 가구원수 가구월평균수입으로 나타났다 비고령자의 경우에는 고령자의 중요 영향변수 이외 지역경제GRDP 경제활동참가율환경과 고용형태도 여가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농어촌권에 거주하는 여성고령자는 남성고령자 보다 여가통행시간에 더 민감하나 비고령자그룹은 남녀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quantitative travel heterogeneity between elderly and non elderly people focusing on urban and rural area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For the analysis a PLSPartial least square model is applied with economic and traff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and rural areas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and non elderly people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are derived from the 2011 person trip survey As a result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key factors affect on elderly people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are bus operation interval number of bus operation routes number of household member and a monthly average income of household In case of non elderly people areas economic factors such as GRDP the rate of economic activity and employment status as well as those of elderly people Meanwhile female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have more sensitivity compared to male elderly people and the gender heterogeneity is not revealed in non elderly peopl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quantitative travel heterogeneity between elderly and non elderly people focusing on urban and rural area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For the analysis a PLSPartial least square model is applied with economic and traff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and rural areas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and non elderly people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are derived from the 2011 person trip survey As a result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key factors affect on elderly people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are bus operation interval number of bus operation routes number of household member and a monthly average income of household In case of non elderly people areas economic factors such as GRDP the rate of economic activity and employment status as well as those of elderly people Meanwhile female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have more sensitivity compared to male elderly people and the gender heterogeneity is not revealed in non elderly people
목차
l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ll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착안점
1 선행연구 고찰
2 연구의 착안점
lll 도시권 및 농어촌권 통행특성
1 분석자료 가공
2 도시권과 농어촌권 구분
3 도시권과 농어촌권의 연령별 동행특성
lV 고령자 여가통행시간 영향요인
1 변수선정 및 특성분석
2 여가동행시간 영향요인 분석모형
V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ll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착안점
1 선행연구 고찰
2 연구의 착안점
lll 도시권 및 농어촌권 통행특성
1 분석자료 가공
2 도시권과 농어촌권 구분
3 도시권과 농어촌권의 연령별 동행특성
lV 고령자 여가통행시간 영향요인
1 변수선정 및 특성분석
2 여가동행시간 영향요인 분석모형
V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원철
충남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발전방안 세미나 (CNI세미나2017-013) (김원철, 강상철) 2017. 03. 10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조성 세미나(조준한,김재열,김원철) 2016. 07. 27
국도77호선 조기건설 논리개발을 위한 시도 협력 세미나(김원철,이영주,이상국) 2015. 05. 20
충남 교통체계진흥화사업 발전방향 세미나(이주일, 류창남, 김원철) 2015. 04. 29
인구감소시대의 공공서비스 효율화 방안(조미형,정혜민,김원철,김재열) 2014. 03. 06
지역실정을 고려한 수요응답형교통수단(DRT) 도입운영 및 모니터링 방안 워크숍(김원철,박준태) 2016. 04.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