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공주시 산성전통시장은 인근 대도시 소비 환경 변화로 고객과 매출이 감소하고 있어 활성화가 시급하며 이에 따라 전통시장 내 시민들을 위한 만남의 장소이자 쉼터 공간으로 미니 식물원을 조성하려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 공간은 관광객과 지역 주민들에게 볼거리와 쉼터를 제공하고 시장 내 문화공원과 연계하여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주시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지속되지만 대전과의 인접성으로 유동인구 유입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며 산성전통시장은 역사성과 전통성이 있는 상권으로 일일 8천여 명의 방문객이 찾는다 시장 주변에 이미 조성된 문화공원과의 연계 활용 및 시민 편의를 고려한 쉼터 조성이 필요하다는 조사결과가 반영되었다
전통시장 내 미니 식물원 조성을 위해 두 후보지를 검토한 결과 후보지 1은 시장 중심부에 위치해 상권 활성화에 유리하고 부지 매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대안으로 선정되었다 반면 후보지 2는 접근성이 우수하지만 부지 매입비가 높아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았다
미니 식물원은 유리온실 형태로 약 330 규모로 조성되며 관람 및 체험이 가능한 다기능 공간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공중화장실과 벤치 파고라 등이 포함된 쉼터 공간도 함께 조성된다 총 사업비는 약 205억 원이며 국비와 시비를 조합하여 추진될 계획이다
쉼터는 전통시장을 찾는 주민들과 관광객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학습과 휴식의 공간으로 계획되었으며 기존 산성문화공원과의 차별화된 활용이 강조된다 특히 카페테리아 운영을 통해 자립형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민간 위탁 운영을 추진할 방침이다
결론적으로 산성시장 중심에 위치한 후보지 1에 미니 식물원과 쉼터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고 커뮤니티 공간 기능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 제시된다
공주시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지속되지만 대전과의 인접성으로 유동인구 유입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며 산성전통시장은 역사성과 전통성이 있는 상권으로 일일 8천여 명의 방문객이 찾는다 시장 주변에 이미 조성된 문화공원과의 연계 활용 및 시민 편의를 고려한 쉼터 조성이 필요하다는 조사결과가 반영되었다
전통시장 내 미니 식물원 조성을 위해 두 후보지를 검토한 결과 후보지 1은 시장 중심부에 위치해 상권 활성화에 유리하고 부지 매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대안으로 선정되었다 반면 후보지 2는 접근성이 우수하지만 부지 매입비가 높아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았다
미니 식물원은 유리온실 형태로 약 330 규모로 조성되며 관람 및 체험이 가능한 다기능 공간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공중화장실과 벤치 파고라 등이 포함된 쉼터 공간도 함께 조성된다 총 사업비는 약 205억 원이며 국비와 시비를 조합하여 추진될 계획이다
쉼터는 전통시장을 찾는 주민들과 관광객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학습과 휴식의 공간으로 계획되었으며 기존 산성문화공원과의 차별화된 활용이 강조된다 특히 카페테리아 운영을 통해 자립형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민간 위탁 운영을 추진할 방침이다
결론적으로 산성시장 중심에 위치한 후보지 1에 미니 식물원과 쉼터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고 커뮤니티 공간 기능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 제시된다
목차
Ⅰ 연구의 개요
Ⅱ 공주시 현황
Ⅲ 산성시장의 현황
Ⅳ 사례조사
Ⅴ 쉼터 공간미니식물원 조성을 위한 후보지 검토
Ⅵ 쉼터미니식물원 조성 기본방향
Ⅶ 추진일정 및 추진주체
Ⅷ 활성화 방안
Ⅸ 결론
Ⅱ 공주시 현황
Ⅲ 산성시장의 현황
Ⅳ 사례조사
Ⅴ 쉼터 공간미니식물원 조성을 위한 후보지 검토
Ⅵ 쉼터미니식물원 조성 기본방향
Ⅶ 추진일정 및 추진주체
Ⅷ 활성화 방안
Ⅸ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
임준홍
도시재생과 재원확보 그리고 크라우드펀딩(CNI세미나2017-080) (이재우, 임준홍,김지훈) 2017. 07. 06
태안군 공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98) (홍규선, 김진영, 임준홍) 2017. 08. 17
아산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방안 모색 워크숍(김륜희, 임준홍) 2016. 06. 24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충남연구원-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 공동 전문가 세미나(임준홍,홍병곤) 2015. 12. 04
지방도시 인구감소 대응 정책에 대한 한일 국제세미나(CNI세미나2017-132) (임준홍,Nobuhiko KOMAKI) 2017.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