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금강하구역은 하굿둑 설치 이후 수질악화와 생태계 훼손 토사 퇴적 등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으며 국토해양부 용역보고서는 해수유통 불가를 전제로 타당성을 부족하게 판단했다 수질예측모형의 신뢰성 부족 오염원 변화 반영 미흡 생태계 및 경제성 분석에서 편익요소 누락 등으로 해수유통의 가능성과 효과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현행 담수 중심의 관리체계는 하구의 생태적 다양성을 훼손하고 있으며 기수역의 회복과 수산자원 복원 필요성이 강조된다 또한 금강호는 정체수역으로 부영양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수질은 4급수 수준으로 희석수 공급에도 적절치 않다 퇴적물 증가 수질저하 연안어장 황폐화 등의 환경문제도 발생하고 있어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대응 전략으로는 대체 수자원 확보 용수 수요공급 재조정 하굿둑 구조개선 부분 해수유통 방안 등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통선문과 배수갑문 설치를 통해 제한적 해수유통을 유도하고 향후 지역 합의를 통해 점진적 확대를 검토한다 금강호의 수질개선을 위해 상류 오염원 차단과 퇴적물 제거 하구생태 복원사업도 병행되어야 한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하굿둑 개방에 따른 비용은 과다 추정된 반면 수질 개선 생물다양성 회복 관광 자원화 등 편익 요소는 제외되어 불균형적 평가가 이루어졌다는 지적이 있다 금강호를 새만금호의 희석수 공급원으로 삼기 위해서는 3급수 수준의 수질 유지가 요구되나 현 상태로는 달성하기 어렵다
하구역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생태 복원을 위해 충남과 전북의 협력적 환경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장기적으로는 하구둑의 단계적 개방을 포함한 실질적 개선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는 홍수방재 수자원 확보 수산업 회복 등 다양한 정책목표를 달성하면서 지역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금강하굿둑의 구조개선은 수질생태홍수관리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해수유통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객관적 검토와 지역사회와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하구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현행 담수 중심의 관리체계는 하구의 생태적 다양성을 훼손하고 있으며 기수역의 회복과 수산자원 복원 필요성이 강조된다 또한 금강호는 정체수역으로 부영양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수질은 4급수 수준으로 희석수 공급에도 적절치 않다 퇴적물 증가 수질저하 연안어장 황폐화 등의 환경문제도 발생하고 있어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대응 전략으로는 대체 수자원 확보 용수 수요공급 재조정 하굿둑 구조개선 부분 해수유통 방안 등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통선문과 배수갑문 설치를 통해 제한적 해수유통을 유도하고 향후 지역 합의를 통해 점진적 확대를 검토한다 금강호의 수질개선을 위해 상류 오염원 차단과 퇴적물 제거 하구생태 복원사업도 병행되어야 한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하굿둑 개방에 따른 비용은 과다 추정된 반면 수질 개선 생물다양성 회복 관광 자원화 등 편익 요소는 제외되어 불균형적 평가가 이루어졌다는 지적이 있다 금강호를 새만금호의 희석수 공급원으로 삼기 위해서는 3급수 수준의 수질 유지가 요구되나 현 상태로는 달성하기 어렵다
하구역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생태 복원을 위해 충남과 전북의 협력적 환경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장기적으로는 하구둑의 단계적 개방을 포함한 실질적 개선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는 홍수방재 수자원 확보 수산업 회복 등 다양한 정책목표를 달성하면서 지역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금강하굿둑의 구조개선은 수질생태홍수관리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해수유통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객관적 검토와 지역사회와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하구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국토부 용역결과에 대한 분석과 검토
1 수질 분야
2 해수유통과 퇴적물 분야
3 경제성 분석 분야
4 생태계 분야
5 수자원 분야
Ⅲ 대응 전략 및 추진 방향
1 대체 수자원 확보
2 전북권 용수 수요공급 전망
3 새만금 희석수 공급
4 시설물 구조개선 방안
5 홍수방재계획
Ⅳ 결론 및 정책 제언
1 연구 결과
2 정책 제언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국토부 용역결과에 대한 분석과 검토
1 수질 분야
2 해수유통과 퇴적물 분야
3 경제성 분석 분야
4 생태계 분야
5 수자원 분야
Ⅲ 대응 전략 및 추진 방향
1 대체 수자원 확보
2 전북권 용수 수요공급 전망
3 새만금 희석수 공급
4 시설물 구조개선 방안
5 홍수방재계획
Ⅳ 결론 및 정책 제언
1 연구 결과
2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종관
해양환경안전포럼(CNI세미나2017-109)(황운기,이규성,임운혁,이봉길,김도선,정종관) 2017. 09. 15
제5차 충남환경포럼 '전략환경평가의 방향과 과제' (정종관) 2006. 10. 1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논산시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방안 (정종관,이상진,오혜정) 2007. 04. 24
금강하굿둑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2014. 02. 05
금강수계 하천,하구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정종관) 2008. 0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