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야생동식물 보호구역 변경 및 재지정을 위한 자연현황 분석
현안

야생동식물 보호구역 변경 및 재지정을 위한 자연현황 분석

기간
2012. 03. 28 ~ 2012. 07. 30
연구책임자
정옥식
연구자
윤정미
키워드
야생동물보호구역,자연현황분석,대호지,멸종위기종,생태환경,보호관리방안,서식지 보전,월동조류
다운로드

현안과제 보고서(야생동물보호구역).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당진시 석문면 대호지 일대는 다양한 멸종위기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수달과 삵 등 포유류뿐만 아니라 매 흰꼬리수리 큰고니 큰기러기 등 멸종위기 조류가 다수 확인되었다 이 지역은 풍부한 먹이자원과 넓은 서식 면적으로 인해 단순 중간기착지가 아닌 장기 체류지로 기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중요한 월동조류 서식지로서 해마다 수천에서 수만 마리의 수조류가 관찰된다 생태적 가치가 높고 보전이 시급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행 야생동물보호구역은 여러 조각으로 분산되어 있고 마을이나 도로 주변에 위치하여 서식지로서의 기능이 저하되고 방해요인이 많아 관리에 비효율성이 크다 특히 보호구역이 파편화되어 있어 생물 다양성 보전의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며 주민들의 활동 제약과 재산권 침해로 인해 야생동물 보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보호구역은 해제하고 단일 조각의 서식지로서 가치가 높은 대상지를 새롭게 보호구역으로 지정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지정 대상지는 면적 약 3927의 유지대호지로 생물다양성 보전과 국제적 보호기준을 충족하는 지역이다 멸종위기종 보호뿐 아니라 월동 수조류의 안정적 서식을 유도하기 위해 먹이자원 확보와 방해요인 제거 탐방객 관리 등이 포함된 보호관리 방안이 제시되었다 호수 인근 농경지에 곡물류를 식재하고 호수 내 수생식물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생태환경을 복원하며 은폐식재와 은폐소 설치를 통해 외부 간섭을 최소화하는 계획이 마련되었다
현장조사 결과 월동철에는 13종의 조류가 서식하며 4463개체가 관찰되었고 여름철새는 14종 92개체가 확인되었다 이 중에는 멸종위기 1급인 흰꼬리수리와 2급인 큰고니 큰기러기도 포함된다 기존 보호구역 지역들의 경우 서식 종의 다양성과 개체수가 적고 파편화로 인한 생태적 연결성도 낮아 야생동물 보호에 비효율적이라는 점이 현장에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보호구역 재조정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해제 대상지는 당진시 5개 구역에 걸쳐 있으며 총 면적은 3122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역은 고라니 너구리 두더지 등 포유류와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개체수가 적고 서식지 품질이 낮으며 인간 활동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아 보전 가치가 떨어진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단일 대규모 지역으로 통합된 보호구역 지정을 통해 종다양성과 보전 효율성을 높일 필요성이 강조된다
결론적으로 기존 야생동물보호구역의 해제와 대호지 일대의 재지정은 서식지의 생태적 연속성과 종보전의 효과를 높이는 실질적인 대안으로 제시되며 향후 법적제도적 보호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주민과의 갈등을 최소화하며 생물다양성 보전을 실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목차

Ⅰ 야생동물보호구역 대상지 현황
1 대상지 개요
2 서식지 생태환경 특성 및 보호가치
3 토지이용현황 및 주변 환경
4 현장조사 결과
5 멸종위기종 분포 현황
Ⅱ 야생동물보호구역 지정 계획
1 대상지 개요
2 지정 사유
3 지정 목적
4 보호관리 방안
5 지정계획도
Ⅲ 야생동물보호구역 해제 계획
1 현 보호구역 개요
2 해제 사유 및 목적
3 현장 조사 결과
4 고찰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