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보령시 갓배마을 인근 군부대 지역에 서식하는 맹꽁이에 대한 생태 조사와 보전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맹꽁이는 무미목 양서류로서 산란은 주로 장마철 웅덩이 등 일시적인 물웅덩이에서 이뤄지며 빠른 성장속도로 단기간 내 성체로 성장한다 주요 먹이는 파리 개미 등 절지동물이며 정적인 포식자 형태로 한 곳에 머물며 곤충을 포식한다 국내에서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조사지역은 대천해수욕장 인근의 군부대 내 나대지로 과거 논이었던 지역을 매립하여 조성된 평탄지형이며 일부 습지 형태의 공간만이 맹꽁이 산란처로 적합한 상태다 내부에는 콘크리트 수로가 설치되어 있고 야생동물의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도 일부 조성되어 있다 군부대 지역 특성상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어 방해요인이 적은 점은 장점이나 대부분 지역은 파쇄석으로 덮여 있어 은신이나 월동이 어렵고 주변 도로에 의해 서식지가 고립되어 개체 이동 시 로드킬 위험이 높다
맹꽁이 보전을 위해서는 조사지 내부보다는 외곽 농경지를 활용한 자연 서식지 유도가 바람직하며 논이나 습지에 추가적인 산란처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산란처는 수심 1040cm 개방수면 비율이 낮고 수생식물이 밀생한 곳이 적합하며 은폐물 조성도 필요하다 서식지 조건이 충족될 경우 농경지를 중심으로 맹꽁이의 안정적 서식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보호관리 방안으로는 제초제와 살충제 사용 자제 유생 먹이 공급 낙엽 투입 등을 통해 먹이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하며 수분 유지가 중요하므로 번식기 수량 확보도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유생기의 체충실도가 성체의 건강과 번식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뭄에 대비한 유량 관리가 핵심이다
조사지 내 수로와 도로 등의 인공 구조물로 인한 이동 장애는 서식지 보전의 또 다른 문제로 지적되며 이로 인해 서식지의 연속성과 확장성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배수로와 도로에는 맹꽁이 탈출 방지시설과 은폐시설 설치가 요구되며 구조물 개선을 통해 개체 폐사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맹꽁이의 안정적인 서식을 위해서는 자연환경을 최대한 활용하고 인공 구조물의 보완을 통해 서식 여건을 개선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생물학적 필요조건에 맞는 서식처 조성을 통한 생태계 보전이 필수적이다
조사지역은 대천해수욕장 인근의 군부대 내 나대지로 과거 논이었던 지역을 매립하여 조성된 평탄지형이며 일부 습지 형태의 공간만이 맹꽁이 산란처로 적합한 상태다 내부에는 콘크리트 수로가 설치되어 있고 야생동물의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도 일부 조성되어 있다 군부대 지역 특성상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어 방해요인이 적은 점은 장점이나 대부분 지역은 파쇄석으로 덮여 있어 은신이나 월동이 어렵고 주변 도로에 의해 서식지가 고립되어 개체 이동 시 로드킬 위험이 높다
맹꽁이 보전을 위해서는 조사지 내부보다는 외곽 농경지를 활용한 자연 서식지 유도가 바람직하며 논이나 습지에 추가적인 산란처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산란처는 수심 1040cm 개방수면 비율이 낮고 수생식물이 밀생한 곳이 적합하며 은폐물 조성도 필요하다 서식지 조건이 충족될 경우 농경지를 중심으로 맹꽁이의 안정적 서식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보호관리 방안으로는 제초제와 살충제 사용 자제 유생 먹이 공급 낙엽 투입 등을 통해 먹이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하며 수분 유지가 중요하므로 번식기 수량 확보도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유생기의 체충실도가 성체의 건강과 번식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뭄에 대비한 유량 관리가 핵심이다
조사지 내 수로와 도로 등의 인공 구조물로 인한 이동 장애는 서식지 보전의 또 다른 문제로 지적되며 이로 인해 서식지의 연속성과 확장성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배수로와 도로에는 맹꽁이 탈출 방지시설과 은폐시설 설치가 요구되며 구조물 개선을 통해 개체 폐사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맹꽁이의 안정적인 서식을 위해서는 자연환경을 최대한 활용하고 인공 구조물의 보완을 통해 서식 여건을 개선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생물학적 필요조건에 맞는 서식처 조성을 통한 생태계 보전이 필수적이다
목차
Ⅰ 맹꽁이 개요
1 맹꽁이 생태
2 맹꽁이 현황
3 갈대의 기능
Ⅱ 조사대상지 현황
1 조사지역 위치
2 서식지 현황 및 문제점
Ⅲ 맹꽁이 보전 및 관리 방안
1 산란처 조성 방안
2 보호관리 방안
Ⅵ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1 맹꽁이 생태
2 맹꽁이 현황
3 갈대의 기능
Ⅱ 조사대상지 현황
1 조사지역 위치
2 서식지 현황 및 문제점
Ⅲ 맹꽁이 보전 및 관리 방안
1 산란처 조성 방안
2 보호관리 방안
Ⅵ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옥식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2017. 07. 12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