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행복연구회 제2차 워크숍 '웰빙과 사회발전 측정 개관' (이희길)
연구정책조성/워크숍

행복연구회 제2차 워크숍 '웰빙과 사회발전 측정 개관' (이희길)

기간
2012. 02. 17 ~ 2012. 02. 17
키워드
웰빙,사회발전
다운로드

20120217-사회발전 및 웰빙측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GDP 중심의 사회발전 지표는 경제적 성장에는 유용하지만 삶의 질과 행복도를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크다 분배 불균형 비임금노동 미반영 환경파괴와 같은 부정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GPI HPI HDI 등 Beyond GDP 지표들은 환경자본 사회자본 인적자본 등을 포함하여 질적인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며 삶의 만족도 생태발자국 건강수명 등을 주요 지표로 채택하고 있다
웰빙 측정은 객관적 접근과 주관적 접근으로 나뉘며 객관적 지표는 정책 활용이 용이한 반면 주관적 지표는 국민 체감 만족도를 반영한다 센의 역량 이론은 기능적 자유와 실질적 삶의 질을 강조한다
전체사회의 삶의 질은 사회경제적 안전 사회통합 포용성 역량성 등의 지표로 구성되며 OECD와 UNDP 일본 캐나다 부탄 등 다양한 국가들이 각각 특화된 지표체계를 운영 중이다
국내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경제인문사회연구원이 각각 복지지수와 경제사회발전지표를 개발했으며 한국은 일부 경제지표에서 양호하나 국민행복과 복지충족 부문에서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사회의 질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구조적 변화와 공동체 해체 신뢰 저하 정치 무관심 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한국은 외환위기 이후 사회통합과 사회역능성에서 뚜렷한 약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웰빙과 사회발전 측정 개관 12년 02 통계개발원 이희길
가 서론
나 사회발전과 웰빙 측정 패러다임의 변화
1 GDP와 그 한계
2 새로운 대안들 Beyond GDP
다 사회발전과 웰빙 측정 접근시각
1 객관 VS 주관적 접근법
2 개인 VS 전체사회의 삶의 질
라 최근의 사회발전과 웰빙 측정사례
1 국제기구 OECD
2 단위국가 사례 일본 캐나다 부탄
3 국내사례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