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제1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 (이강익,박대호,김성훈)
연구정책조성/콜로키움

제1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 (이강익,박대호,김성훈)

기간
2012. 03. 29 ~ 2012. 03. 29
키워드
사회적경제,협동조합,지역화,지역순환경제,충남,생태계,네트워크,풀뿌리기업
다운로드

20120329-제1차 콜로키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제]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 (이강익).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토론1]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 (박대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토론2]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지역전략 (김성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토론후기]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제1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에서는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의 이론적 기반과 지역화 전략이 논의되었다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을 계기로 지역사회 기반 협동조합 생태계 조성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협동조합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풀뿌리기업으로서 자립성과 민주성 지역순환경제 형성에 핵심 역할을 한다 자본의 탈지역화를 억제하고 지역 고용과 서비스 제공 등 다층적 기여가 가능하다
충남은 부의 역외유출이 심각하며 지역 내 생산된 부가 대부분 수도권으로 이동하고 있어 지역화가 절실하다 협동조합은 지역 자본과 소비를 연결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 대안으로 제시된다
협동조합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는 단순한 제도 도입을 넘어 지역사회 주도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자원 연계 사회적 금융 등의 기반이 함께 구축돼야 한다
스페인 몬드라곤과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는 강한 연계형 협동조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지역경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들 사례는 지역성과 연대를 바탕으로 한 협동 전략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강원도와 원주 춘천 등 국내 사례에서도 지역 시민사회의 참여와 네트워크 중심의 협동 생태계 조성이 성과를 내고 있으며 이는 충남형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발제 1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
I 머리말
II 지역화와 협동조합
III 협동조합과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토론 1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
토론 2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지역전략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