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학술단체협의회-충남발전연구원 공동 학술토론회 '지방화시대, 충청남도를 보다' (이한상,황평우,한상욱,배성인)
연구정책조성/포럼

학술단체협의회-충남발전연구원 공동 학술토론회 '지방화시대, 충청남도를 보다' (이한상,황평우,한상욱,배성인)

기간
2012. 05. 11 ~ 2012. 05. 11
연구자
정봉희,김효주
키워드
학술단체협의회,지방화시대
다운로드

학술단체협의회-충남발전연구원 공동 학술토론회 지방화시대, 충청남도를 보다.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 충청남도의 지역정체성과 백제문화 (이한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 백제문화와 지역문화의 연계 및 문화벨트 형성 방안 (황평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 충청남도 지역 균형개발의 현황과 대안 (한상욱).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4주제] 충청남도 지역주의의 정치사회적 특성과 의미 (배성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1 머리말
서기 660년 백제가 패망한 후 백제의 옛 땅은 당唐의 지배를 받게 된다 그 중심지는 한 때 백제의 왕도였고 사비시기에는 5방성方城 가운데 하나로 기능한 웅진성熊津城 즉 현재의 공주였다 당을 구축한 이후 이곳에는 웅천주熊川州가 설치되었고 통일신라 고려 조선을 거치면서 지방지배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
동일한 행정구역에 편제되어 있었다고 하여 반드시 문화적 동질성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교통과 통신이 미발달되었던 전근대사회의 경우 그럴 개연성이 충분하다 비단 충남지역에 한정되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이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한 주민들은 동일한 행정구역에 편제되어 생활해오면서 스스로를 다른 지역 사람들과 구분지어 생각하는 지역정체성地域正體性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지역정체성은 갑자기 창출된 것이 아니라 긴 역사의 흐름 속에서 서서히 형성된 것이며 특히 이 지역이 국가의 왕도로 기능하였던 백제시기의 문화가 모태와도 같은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백제는 비록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지만 그 땅에 살았던 사람들은 오랫동안 백제를 잊지 못했다 그리고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가 보여주듯 백제의 부흥을 기치로 한 봉기에 나서기도 하였

이후 생략

목차

토론회 제1부
[제1주제] 충청남도의 지역정체성과 백제문화 이한상 대전대학교 교수
1머리말
2지역정체성의 모태 백제문화
3백제문화의 계승과 지역정체성
4맺음말
[제2주제] 백제문화와 지역문화의 연계 및 문화벨트 형성 방안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 소장
[토론]
권영현 충남발전연구원 문화디자인연구부장
지수걸 공주대학교 교수
토론회 제2부
[제3주제] 충청남도 지역 균형개발의 현황과 대안 한상욱 충남발전연구원 연구위원
1서론
2관련 논의의 검토
3충남의 지역균형발전정책 추진실태와 문제점
4충남 지역균형발전정책 개선방안
[제4주제] 충청남도 지역주의의 정치사회적 특성과 의미 배성인 한신대학교 교수
1머리말
2충청 지역주의의 발생과 변화
3충청남도 지역주의의 특성
4대안
[토론]
박경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목원대학교 교수
허남혁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