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1 들어가며
한국의 자활사업은 1996년 자활지원센터 시범사업으로 시작해 2000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시행과 함께 제도화된 정책으로 공공부조에 포함된 노동연계복지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자활사업의 대상자는 조건부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이며 정부 부처 차원에서는 노동부와 복지부가 관할 부처이다 프로그램으로는 자활근로를 비롯해 자활공동체 희망리본프로젝트 취업성공패키지 디딤돌 사업 생업자금융자 등 정부가 정한 근로능력 점수에 따라 창업 취업 사회적응프로그램 정부재정 지출 일자리 등의 유형이 존재한다
이렇듯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2 이 글은 자활사업의 전달체계인 지역자활센터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자활사업의 함의를 살펴본다 그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하나는 한국에서 사회적경제라는 담론이 등장했던 초기 사례가 지역자활센터의 역할을 통해서 가능했다는 점이다
이후 생략
한국의 자활사업은 1996년 자활지원센터 시범사업으로 시작해 2000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시행과 함께 제도화된 정책으로 공공부조에 포함된 노동연계복지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자활사업의 대상자는 조건부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이며 정부 부처 차원에서는 노동부와 복지부가 관할 부처이다 프로그램으로는 자활근로를 비롯해 자활공동체 희망리본프로젝트 취업성공패키지 디딤돌 사업 생업자금융자 등 정부가 정한 근로능력 점수에 따라 창업 취업 사회적응프로그램 정부재정 지출 일자리 등의 유형이 존재한다
이렇듯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2 이 글은 자활사업의 전달체계인 지역자활센터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자활사업의 함의를 살펴본다 그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하나는 한국에서 사회적경제라는 담론이 등장했던 초기 사례가 지역자활센터의 역할을 통해서 가능했다는 점이다
이후 생략
목차
발표
[제1주제]자활사업과 사회적경제 김정원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부설 자활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1들어가며
2개념이해 사회적경제란 무엇인가
3개념이해 지역자활센터는 어떤 조직인가
4지역자활센터와 사회적경제와 어떻게 관련을 맺는 것인가
5맺으며
[제2주제]자활사업의 이해 노병갑 사충남지역자활센터 사무국장
1들어가며
2자활사업의 발전 과정
3자활지원제도
4충남자활사업
토론
[토론1]사회적경제영역에서의 왕성한 활동을 기대하며 박찬무 사충남사회적경제네트워크 협동처장
1자활의 딜레마
2제도개선이나 대정부투쟁으로 이뤄지는 것이 무엇
3내려놓앗으면 좋겠다 그리고 다시 설계했으면 좋겠다
4이런 상상은 어떨지
[토론2]자활사업과 사회적경제 김학실 충북대학교 사회적기업 중점연구소 전임연구원
[제1주제]자활사업과 사회적경제 김정원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부설 자활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1들어가며
2개념이해 사회적경제란 무엇인가
3개념이해 지역자활센터는 어떤 조직인가
4지역자활센터와 사회적경제와 어떻게 관련을 맺는 것인가
5맺으며
[제2주제]자활사업의 이해 노병갑 사충남지역자활센터 사무국장
1들어가며
2자활사업의 발전 과정
3자활지원제도
4충남자활사업
토론
[토론1]사회적경제영역에서의 왕성한 활동을 기대하며 박찬무 사충남사회적경제네트워크 협동처장
1자활의 딜레마
2제도개선이나 대정부투쟁으로 이뤄지는 것이 무엇
3내려놓앗으면 좋겠다 그리고 다시 설계했으면 좋겠다
4이런 상상은 어떨지
[토론2]자활사업과 사회적경제 김학실 충북대학교 사회적기업 중점연구소 전임연구원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효주
예산군의 효행과 우애(지역정체성 확립과 자원활용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2002. 10. 16
「충남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제4차 워크숍 및 비상임연구위원 공동참여연구 발표·토론회 (김필두,홍정순,김성호,김찬배,길병옥,이상선,이준건) 2012. 08. 02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11회 워크숍 (배대순,박미진,황민호) 2012. 07. 20
제6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와 귀농·귀촌' (차광주,이상구,이기왕,조남준,유학열,이수행) 2012. 07. 06
충청남도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3차 워크숍 (하승수, 곽현근) 2012. 06. 18
- 정봉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