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18대 대선과 농어업.농어촌 정책과제 토론회
연구정책조성/워크숍

18대 대선과 농어업.농어촌 정책과제 토론회

기간
2012. 10. 05 ~ 2012. 10. 05
연구자
정봉희,김효주
키워드
18대,대선,농어업,농어촌
다운로드

제1세션 국민의 먹거리기본권 보장 (허남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세션 농어업인의 인간다운 생활권보장 (장경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세션 순환과 공생의 도농 공동체 실현 (허헌중 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4세션 제도혁신과 인적혁신 (유정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총론 농업업 농어촌 정책의 혁신 (박진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현황
먹거리와 관련된 정책들과 관할 부처들이 흩어져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지 못함
국가 및 지역이 농업활동과 국민들의 안정적 먹거리 섭취 지원 정책 간에 연계되어 있지 않고 식량자급률 제고정책과 국민의 건강한 먹거리 섭취 증진정책 간에 연결되어 있지 못함
통합적인 심품정책food policy가 아니라 식량정책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농식품부 식품안전정책보건복지부만 서로 별개로 존재함
그 결과 글로벌 식량위기가 건강윅 기후위기의 시대에 먹거리 정책의 목적이 제대로 달성되고 있지 못함
식량자급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
국민들의 비만과 당뇨병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계층간 영양섭취의 양극화 경향이 점차 심화되고 있음
한국 농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음 에너지 사용량 화학물질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 등
보건복지부의각종 식품 지원사업들이 농업적 연계성을 전혀 지니고 있지 못함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식품비 현금지원으로 인해 식품구매의 기준 자체가 없음
이후 생략

목차

국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농업인의 인간다운 생활권 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순환과 공생의 도농공동체 실현을 위한 정책과제
농정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제도와 인적혁신 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