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제2차  2012충남공공디자인아카데미 (홍의택,양한규,박진애)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제2차 2012충남공공디자인아카데미 (홍의택,양한규,박진애)

기간
2012. 10. 22 ~ 2012. 10. 22
연구자
김호연,오병찬,이인배,권영현,김경태,권미정
키워드
공공디자인,에코이즘
다운로드

공공디자인워크숍_표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교육일정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간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01.이제는 새로운 공공디자인이다! (홍의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02-1.디자人 에코이즘 안양 도시에 디자인을 입히다 (양한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02-2.안양시 사례발표(디자인 에코이즘 안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02-3.안양시 공공디자인 및 공공예술사업 답사 대상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03-1.삼청동 디자인서울거리 및 간판개선 사업 개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03-2.세종로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 추진 개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04.인천 아트플랫폼 차이나타운.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참여연구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I 배경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개발 발전방향
ㅇ 1997년부터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지자체 간 경쟁이 극도의 혼란한 양상을 보임
ㅇ 지역 간 경쟁이 점점 심화되고 있고 지역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강화되고 있음
ㅇ 그 과정 중에서 지역 간 경쟁에서 문화적 가치가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었고 이러한 상황은 장소 또는 지역 마케팅place marketing으로 구체화됨
ㅇ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단으로서 지역에 기반을 두고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풀뿌리형 지역개발 사업 추진이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확산됨 마을만들기 등
ㅇ 지역개발의 차원에서 지역 활성화 차원의 커뮤니티형 공공디자인 사업을 도입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음
ㅇ 지역 활성화를 목표로 한 지역개발은 잠재적 가치가 높은 지역자원을 지역 활성화 자원으로 개발함으로써 방문객의 증가와 이용 욕구 충족 및 지역주민의 문화향유 및 삶의 질 증대에 이어 소득증대를 가져옴
이후 생략

목차

1이제는 새로운 공공디자인이다 홍의택 가천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지역활성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콘텐츠 활용현황과 주요 이슈
I배경
II지역개발에서 공공디자인 콘텐츠 활용현황
III시사점 및 정책제언
2디자人 에코이즘 안양 도시에 디자인을 입히다 양한규 안양시 도시디자인팀 보좌관
21안양시 공공디자인 사업소개
I매력적인 도시를 만든다 안양 아트시티 21 프로젝트
II간판이 아름다운 도시
III도시의 거리 공원이 미술관
IV자연친화적 그린환경과 디자인예술 도시로 전환
V안양천 명소화를 위한 Happy Walking
3서울시 종로구 공공디자인 박진애 종로구 도시디자인과 주무관
31삼청동 디자인서울거리 및 간판개선사업
I삼청동 디자인서울 거리 사업개요
II삼청동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개요
III삼청동 위치도 및 현황도
IV디자인서울거리 변경 전후 사진
32세종로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 추진결과 보고
I사업개요
II추진내용
III추진결과
4인천 아트플랫폼 차이나타운 홍의택 가천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I차이나타운
II아트플랫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