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주택계획 워크숍 - 충남의 주거실태와 독일의 주택정책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주택계획 워크숍 - 충남의 주거실태와 독일의 주택정책

기간
2012. 12. 27 ~ 2012. 12. 27
연구책임자
임재영
연구자
김양중,이민정
키워드
주택정책,사회주택,임대주택,통일,프랑크푸르트,정책지원,지방정부,취약계층
다운로드

2011227 워크샵자료.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독일은 자가율이 낮고 임대주택 비중이 높은 구조이며 공공임대주택이 전체의 20를 차지한다 주택정책은 기본적으로 민간 주도하되 공공의 개입과 규제를 통해 균형을 도모한다 정책은 연방 주 기초지자체 3단계로 구성되며 지역별로 자율성이 강하게 작용한다
독일 주택정책은 역사적으로 사회적 역할을 강조해왔고 특히 통일 이후 구서독의 주택부족과 구동독의 주택재개발 문제가 주요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주택보조체계가 정비되었고 주 및 지방정부의 융통성이 강조되었다
주택정책 수단은 자가 소유 촉진 사회주택 건설 보조 임대주택 세제혜택 기존주택 개선 주택수당 및 저축장려제도로 구성된다 특히 저소득층을 위한 임대료 보조와 주거급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프랑크푸르트시는 고소득층 중저소득층 저소득소외계층 등 계층별로 주거대책을 설정하며 특히 임대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재정지원 및 공공임대 확대 정책을 추진한다 다양한 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사회주택 매입 임대료 보조 등을 병행한다
주거정책의 주요 목표는 다양한 시민계층에게 안정적이고 매력적인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친환경 건축 주거환경 개선 사회적 통합 유도 등이 병행된다 주거공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시재개발도 병행 추진된다
정책 시사점으로는 하위지자체 중심의 정책 운영 보조제도의 체계화 사회주택 확대 필요성 친환경 건축 도입 주택구조 다양화 및 계층통합을 위한 계획적 주거정책 수립이 강조된다 이는 사회안정과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기반이 된다

목차

I 주택정책 개괄
II 사례소개 프랑크푸르트市의 주택정책 가이드라인2005에 기초하여
III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