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송악읍 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연구 용역
수탁

송악읍 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연구 용역

기간
2012. 11. 14 ~ 2013. 05. 21
연구책임자
김정연
키워드
송악읍,종합정비사업,생활거점,기지시줄다리기,문화관광,구시가지 재생,도농공생,기능지수
다운로드

130217_송악_합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송악읍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은 당진시 송악읍의 구도심 쇠퇴와 기반시설 부족 문화체육시설 미비 등 복합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거점으로서의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종합계획이다 대상지는 기지시리 가교리 반촌리 가학리 일원으로 교통요충지이자 문화유산이 집적된 지역이다
SWOT 분석 결과 줄다리기 문화재 양호한 접근성 인구 증가 등의 강점을 지니나 구도심 공동화 기반시설 미비 당진동과의 상권경쟁 등 약점과 위기를 동시에 안고 있다 이에 기지시줄다리기 테마공간 조성과 신구도심 연계 주민 참여 기반 재생사업이 핵심 과제로 도출되었다
발전방향은 역사문화가 살아 숨 쉬는 명품거점 도농교류와 정주가 활발한 전원도시로 설정되었으며 문화체험공간 구시가지 재생 생활서비스 거점 강화 주민역량 강화가 주요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줄다리기박물관과 테마공간 문화스포츠센터 등 거점시설 조성이 계획되었다
생활편의시설은 교육기관 도서관 박물관은 있으나 체육시설의료기관 부족으로 생활 불편이 크며 상업시설은 전통시장 폐쇄로 약화된 상태다 기지시 줄다리기 등 문화유산과 관련 행사도 존재하나 연계 관광 기반이 부족해 개선이 필요하다
공간별 발전전략은 구시가지 재생과 신도심 연계 소공원광장 조성 도보접근성 개선 등을 포함하며 시가지 간 연결도로는 테마가로로 정비되고 마을회관 및 공공시설은 공동체 중심 거점으로 기능하게 된다
성과지표는 주민만족도 인구유입 마을리더 육성 일자리 창출 교육 횟수 주차장광장면적 확대 관광객 유입 등을 설정해 연차별 목표를 관리하며 전반적으로 도농통합형 문화생활 복합도시를 구현하려는 계획이다

목차

Ⅰ 사업대상지 개요
1 공간적 범위
2 지역현황
사업대상지 연혁
송악읍 생활환경 수준
사업대상지 현황
생활편의시설 현황
지역산업 현황
전통역사문화 현황
지역공동체 활동 내역
지자체의 지원조직 현황
지자체의 학습활동실적
기능지수 분석
3 종합분석 및 계획과제 도출
종합분석SWOT
계획과제 도출
Ⅱ 상위관련 계획과의 연계성
Ⅲ 송악읍소재지 발전방향
1 기본방향
송악읍소재지의 비전
발전목표
추진전략
성과지표
2 공간별 발전방향
송악읍 전체의 발전방향
송악읍소재지의 발전방향
3 송악읍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을 위한 대상사업 선정
대상사업 선정 원칙과 기준
사업선정을 위한 수요조사 결과
대상사업 선정 결과
Ⅳ 송악읍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
1 기초생활기반확충
2 지역경관개선
3 지역역량강화
4 시설물 운영 및 유지관리계획
총괄 운영 및 유지관리
개별시설별 운영 및 유지관리
Ⅴ 사업별 투자계획
1 재정별 투자계획
2 연차별 투자계획
Ⅵ 증빙자료
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 검토 자료
전문가 검토의견서
연계사업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