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 변경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과 그동안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거점기능지구의 연계 부재의 문제를 짚어보고 유사 이래 과학기술분야의 최대 국책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정책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우리나라 기초과학을 획기적으로 진흥시키고 기초과학의 연구성과를 사업화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의 최대 국책사업임
그러나 현재의 추진상황에 있어 거점기능지구간의 연계성 부재와 미래부ㆍ대전시의 기본계획 변경에 대한 MOU체결로 기존 과학벨트 사업의 취지가 훼손되어 과학벨트 사업의 성공적 추진에 난항이 예상
중앙정부 차원에 있어서도 이러한 거점지구의 계획변경에 대해 기능지구 활성화대책을 제안하고 있지만 과학벨트의 원취지를 도모하기에는 한계를 보임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과 함께 추가적으로 과학벨트 거점기능지구간의 연계활성화를 통한 성공적인 과학벨트 조성을 위해 아래와 같이 기능지구에 대한 정책을 제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우리나라 기초과학을 획기적으로 진흥시키고 기초과학의 연구성과를 사업화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의 최대 국책사업임
그러나 현재의 추진상황에 있어 거점기능지구간의 연계성 부재와 미래부ㆍ대전시의 기본계획 변경에 대한 MOU체결로 기존 과학벨트 사업의 취지가 훼손되어 과학벨트 사업의 성공적 추진에 난항이 예상
중앙정부 차원에 있어서도 이러한 거점지구의 계획변경에 대해 기능지구 활성화대책을 제안하고 있지만 과학벨트의 원취지를 도모하기에는 한계를 보임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과 함께 추가적으로 과학벨트 거점기능지구간의 연계활성화를 통한 성공적인 과학벨트 조성을 위해 아래와 같이 기능지구에 대한 정책을 제시
목차
1 문제제기
2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 변경 주요내용과 문제점
3 대응방안과 정책제안
2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 변경 주요내용과 문제점
3 대응방안과 정책제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백운성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세미나 (차두원,백운성) 2013. 04. 08
안전충남 2050 비전위원회 워크숍(CNI세미나2017-009) (백운성, 조민상, 이주호) 2017. 03. 10
ICT산업 정책동향과 충남의 정책방향(김상태,백운성,설영훈,이영훈,한무호,고석철,최영근,이명섭) 2014. 01. 09
충남경제학회 충청지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CNI세미나2017-159)(김기희,백운성,설영훈 외) 2017. 12. 01
열린충남37호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