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최근 17년간 수도권 집중은 여전히 확대심화되었고 특히 자본과 권력 수도권 집중이 심각하고 복지분야 등 새로운 수도권 집중이 나타나고 있음
국가균형발전정책 기조 속에서도 수도권 규제완화는 추진되었고 최근에는 공장입지 뿐만 아니라 대학 금융 공공시설로 규제완화의 내용이 확대되고 있음
특히 제18대와 제19대에서 총 5건의 입법 발의를 통해 수도권 규제완화를 추진하는 등 향후 의원입법을 통한 수도권 규제완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런 측면에서 지역 국회의원과 정책네트워크 형성이 매우 중요하고 다음과 같은 대응방안 모색이 요구됨
우선 수도권 규제정책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 우선 규제대상이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산업으로 규제방식이 입지규제 등의 직접규제에서 세금 등의 간접규제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고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발전 관계가 형성되어야 함
그리고 수도권 규제완화 이전에 지방의 자생적 기반 확보가 전제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방분권과 지방재정력 강화 수도권과 지방 사회간접자본 투자비의 균형 확보 지방의 자립적 경제기반 확충 지역인재할당제 및 지역인재 채용 장려제 도입 지방금융 활성화 및 벤처캐피탈 조성 지방대학의 수도권 이전 제한 사회복지 수혜대상에 지방의 저가 주택소유자 포함 수도권의 정치적 의사결정권 집중 방지를 위한 지역할당상원제 도입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국가균형발전정책 기조 속에서도 수도권 규제완화는 추진되었고 최근에는 공장입지 뿐만 아니라 대학 금융 공공시설로 규제완화의 내용이 확대되고 있음
특히 제18대와 제19대에서 총 5건의 입법 발의를 통해 수도권 규제완화를 추진하는 등 향후 의원입법을 통한 수도권 규제완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런 측면에서 지역 국회의원과 정책네트워크 형성이 매우 중요하고 다음과 같은 대응방안 모색이 요구됨
우선 수도권 규제정책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 우선 규제대상이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산업으로 규제방식이 입지규제 등의 직접규제에서 세금 등의 간접규제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고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발전 관계가 형성되어야 함
그리고 수도권 규제완화 이전에 지방의 자생적 기반 확보가 전제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방분권과 지방재정력 강화 수도권과 지방 사회간접자본 투자비의 균형 확보 지방의 자립적 경제기반 확충 지역인재할당제 및 지역인재 채용 장려제 도입 지방금융 활성화 및 벤처캐피탈 조성 지방대학의 수도권 이전 제한 사회복지 수혜대상에 지방의 저가 주택소유자 포함 수도권의 정치적 의사결정권 집중 방지를 위한 지역할당상원제 도입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목차
1 문제제기
2 수도권 집중의 실태와 문제
3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의 최근 동향
4 수도권 규제완화의 대응방안
5 결론
2 수도권 집중의 실태와 문제
3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의 최근 동향
4 수도권 규제완화의 대응방안
5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관률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수구,이관률) 2012. 03. 23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금산 아토피치유마을 활성화 정책세미나_금산군 시군정책협력단(손창규,이관률) 2015. 12. 10
충남도 산림녹지분야 정책발굴을 위한 세미나(김통일,이관률,최영규) 2015.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