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lanning methods of central place of basic settlement area and to propose the improved alternatives under the changing policy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Manual for General Rural development Projects 2013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Report of total survey on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 of EupMyon 2012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analysed the plans for improvement of the seat of Eup or Myon There were found out some problems which hindered effectiveness of rural center
planning as follows biased objectives of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 of EupDongMyon planning target of central place without distinction range and type of projects centering around hardware inefficient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etc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were proposed improved alternatives of rural center planning methods such as providing differential planning guideline according to functional level of central place diversifying the object fieldliving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economic diversification sociocultural facilities and program and devising diverse software program applying urban and regional regeneration techniques and improvement of planning system for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 of EupDongMyon
planning as follows biased objectives of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 of EupDongMyon planning target of central place without distinction range and type of projects centering around hardware inefficient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etc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were proposed improved alternatives of rural center planning methods such as providing differential planning guideline according to functional level of central place diversifying the object fieldliving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economic diversification sociocultural facilities and program and devising diverse software program applying urban and regional regeneration techniques and improvement of planning system for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 of EupDongMyon
목차
1 서론
2 관련 정책 동향과 과제
21 관련 정책 동향
22 쟁점과 연구과제
3 일반농산어촌지역 중심지정비사업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평가
31 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목적과 추진방향
32 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적용 대상지역
33 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적용 대상영역과 사업
34 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계획의 수립과 추진
4 일반농산어촌 중심지정비사업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개선방안
41 중심지정비사업계획의 목적과 위상 재정립
42 중심지 유형별 차별적 접근
43 대상영역 및 사업의 확대와 소프트화
44 계획 수립 및 추진의 합리화
5 결론
참고문헌
2 관련 정책 동향과 과제
21 관련 정책 동향
22 쟁점과 연구과제
3 일반농산어촌지역 중심지정비사업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평가
31 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목적과 추진방향
32 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적용 대상지역
33 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적용 대상영역과 사업
34 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계획의 수립과 추진
4 일반농산어촌 중심지정비사업읍동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의 개선방안
41 중심지정비사업계획의 목적과 위상 재정립
42 중심지 유형별 차별적 접근
43 대상영역 및 사업의 확대와 소프트화
44 계획 수립 및 추진의 합리화
5 결론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은순
농촌지역 특성 분석 및 유형화-충청남도 읍·면지역을 중심으로- 2013. 01. 01
새국토연구협의회 2007년 제2차 포럼 (조승연,유학열,조영재,김정연,송미령,성주인,엄대호) 2007. 10. 22
지속가능한 충남형 도시계획 수립방안 연구용역 2017. 04. 10
-
김정연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 소도시연구회 5차 워크숍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주제발표 (김정연,성주인) 2013. 07. 29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