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2013년 충남 경제성장 및 수출전망
현안

2013년 충남 경제성장 및 수출전망

기간
2013. 02. 20 ~ 2013. 02. 28
연구책임자
김양중
키워드
충남 경제,수출 전망,2013년 경제 성장,GRDP,세계 경제 회복,제조업 생산,ARIMAX 모형,무역환경 변화
다운로드

2013년 충남 경제전망 및 수출전망(김양중)_2013.0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13년 충남 경제는 세계 경제의 완만한 회복 흐름에 영향을 받아 전년 대비 성장세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경제는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점진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겠지만 유로지역의 위기 지속과 미국의 재정긴축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경제도 이 같은 국제 정세에 따라 수출 회복과 민간소비 증가가 이루어지더라도 설비투자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충남 경제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의 IT 산업에서 생산 증가가 기대되며 자동차 산업은 해외 생산 확대와 내수 정체로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소비자 물가는 낮은 수요 압력과 국제유가 안정으로 상승폭이 제한될 것으로 보이며 수출은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중심의 회복세가 예상된다 특히 중국 내수 확대 정책과 FTA 활용 확대가 수출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 예측은 ARIMAX 모형을 통해 2013년 충남 수출이 전년 대비 43 증가한 647억 달러로 전망되며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과 동일한 수치이다 충남의 수출 증가율은 2011년 109에서 2012년 36로 급락했으나 2013년에는 반등이 예상된다 이는 주요 품목의 수출 여건 개선과 세계 경제 회복세가 반영된 결과이다
GRDP지역내총생산는 2012년 58 증가에 이어 2013년에는 59 증가가 예상되어 전국 평균 30를 상회하는 성장이 예측된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화학 등 주요 수출산업의 회복과 더불어 지역경제 전반의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충남은 전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충남의 경제가 수출 중심 구조를 지니고 있어 대외 충격에 취약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FTA 대응전략 중소기업 지원 강화 생활밀착형 서비스업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특히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자생력 강화가 충남 경제 회복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2013년은 충남 경제에 있어 수출 반등과 GRDP 증가를 통해 회복 기반을 다질 수 있는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다만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외부 변수에 민감한 구조인 만큼 정책적 대비와 경제 체질 개선이 병행되어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는 점이 제시된다

목차

I 2013년 세계 경제 전망
II 2013년 우리나라 경제 전망
III 2013년 충남 경제 전망
IV 2013년 충남의 수출 및 GRDP 예측
V 요약 및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