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미라이후손관거를 포함한 9개 기업의 충청남도 이전은 총 1227명의 고용 창출과 1155억 원의 투자로 지역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 효과는 크게 건설효과와 생산효과로 나뉘며 건설효과는 부지 조성 및 장비 설치 등에서 발생하는 일회성 효과이고 생산효과는 기업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면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파급 효과이다 충청남도의 입장에서는 장기적 지속성을 지닌 생산효과가 더 중요하며 실제로 정부의 효과분석은 일시적 건설효과에 편중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산업연관분석 결과 9개 기업의 이전으로 인해 지역 내 생산액은 약 5113억 원 부가가치는 약 1035억 원 소득은 464억 원 증가가 예상되며 총 1227명의 고용이 발생한다 특히 수송장비 음식료품 전자기기 화학제품 등 다양한 업종에서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단 해당 기업이 충남 내에서 타 시군으로 확장 이전하는 경우라면 기존 고용 및 생산을 포함시키는 것은 이중계산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건설효과 측면에서 보면 이전 기업들의 투자로 전국적으로 약 2954억 원의 생산액이 증가하고 부가가치 약 1155억 원 소득 562억 원 고용은 2179명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중 충남 지역에서만도 각각 약 1607억 원의 생산액 679억 원의 부가가치 376억 원의 소득 1410명의 고용 효과가 발생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충남이 주된 투자지로서 전국 대비 효과 집중 지역임을 보여준다
이전 기업 중에서는 세현정공과 거성이앤의 효과가 가장 크며 각각 약 1075억 원과 1256억 원의 생산액 증가를 기록한다 이들 기업은 고용 창출에서도 각각 214명 250명의 신규 고용을 예정하고 있어 지역 일자리 확대에 기여한다 특히 이들 기업의 공장 가동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경우 충남의 경제적 자립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역 정부의 적극적 유치 및 지원 정책 기업과 지역사회의 협력체계 구축이 병행되어야 하며 기존 지역 기업과의 상생 및 중복 효과 방지를 위한 체계적인 분석과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단순한 투자 유치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고용 유지 및 지역 내 소비와 연계를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이번 9개 기업의 충남 이전은 단기적 건설효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생산 및 고용효과를 통해 충청남도의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이며 이를 기반으로 충남은 타 지역 대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연관분석 결과 9개 기업의 이전으로 인해 지역 내 생산액은 약 5113억 원 부가가치는 약 1035억 원 소득은 464억 원 증가가 예상되며 총 1227명의 고용이 발생한다 특히 수송장비 음식료품 전자기기 화학제품 등 다양한 업종에서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단 해당 기업이 충남 내에서 타 시군으로 확장 이전하는 경우라면 기존 고용 및 생산을 포함시키는 것은 이중계산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건설효과 측면에서 보면 이전 기업들의 투자로 전국적으로 약 2954억 원의 생산액이 증가하고 부가가치 약 1155억 원 소득 562억 원 고용은 2179명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중 충남 지역에서만도 각각 약 1607억 원의 생산액 679억 원의 부가가치 376억 원의 소득 1410명의 고용 효과가 발생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충남이 주된 투자지로서 전국 대비 효과 집중 지역임을 보여준다
이전 기업 중에서는 세현정공과 거성이앤의 효과가 가장 크며 각각 약 1075억 원과 1256억 원의 생산액 증가를 기록한다 이들 기업은 고용 창출에서도 각각 214명 250명의 신규 고용을 예정하고 있어 지역 일자리 확대에 기여한다 특히 이들 기업의 공장 가동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경우 충남의 경제적 자립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역 정부의 적극적 유치 및 지원 정책 기업과 지역사회의 협력체계 구축이 병행되어야 하며 기존 지역 기업과의 상생 및 중복 효과 방지를 위한 체계적인 분석과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단순한 투자 유치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고용 유지 및 지역 내 소비와 연계를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이번 9개 기업의 충남 이전은 단기적 건설효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생산 및 고용효과를 통해 충청남도의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이며 이를 기반으로 충남은 타 지역 대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II 기업이전 관련 기본 현황
1 기업이전의 배경
2 기업이전 대상 업체 및 투자개요
III 기업이전의 지역경제 효과 분석
1 기업이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구조
2 건설효과 분석
건설효과의 개념
건설효과 분석결과
3 생산효과 분석
생산효과의 개념
생산효과 분석결과
IV 결론 및 시사점
II 기업이전 관련 기본 현황
1 기업이전의 배경
2 기업이전 대상 업체 및 투자개요
III 기업이전의 지역경제 효과 분석
1 기업이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구조
2 건설효과 분석
건설효과의 개념
건설효과 분석결과
3 생산효과 분석
생산효과의 개념
생산효과 분석결과
IV 결론 및 시사점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재영
정책이슈 발굴을 위한 공공투자연구포럼(김종민,이현주,김태균,임재영) 2016. 03. 31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움(CNI세미나2017-169)(전대욱,임재영) 2017. 12. 18
대중 기초통계 정비를 위한 실무진 회의(임재영) 2015. 06. 11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