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3농혁신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분석
현안

3농혁신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분석

기간
2013. 05. 07 ~ 2013. 08. 20
연구책임자
유학열
키워드
3농혁신,만족도조사,참여도,문제점개선,추진체계,지속추진필요성,전략사업,교육참여의사
다운로드

3농혁신만족도결과분석_2013.8.20_유학열.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3농혁신 2차년도 종료 시점에서 진행된 충청남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은 도 및 시군 공무원이었으며 3농혁신에 대한 인지도는 공무원 그룹에서 높았지만 농어업인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체의 628가 인지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실제 사업 체감도는 보통 이하가 796로 나타나 현장 적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정보 습득 경로는 교육이 가장 많았으며 공무원 교육과 3농혁신대학의 효과로 해석된다
3농혁신 추진 실태에 대한 평가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긍정적 평가는 455로 부정적 평가보다 높았다 향후 지속 추진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의 약 75가 긍정적으로 응답했으며 특히 도 공무원의 긍정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선도전략사업은 친환경 농산물 지역순환식품체계 희망마을 도농교류 지역리더 육성 등 5개로 적절하다는 평가가 우세했고 추진체계에 대해서는 보통이 많았지만 개선 필요성이 다수 제기되었다
3농혁신 개선방안으로는 현장 실천과 주민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578로 높았고 시군 주도 추진 거버넌스 구축 교육 확대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시군 공무원은 주민 참여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농어업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참여 요구를 보였다 5대 전략사업 중 최우선 과제로는 지역순환식품체계 구축 및 유통구조 선진화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기타 의견으로는 3농혁신대학의 필요성을 절반 이상이 인정했고 향후 관련 교육 참여 의사도 644로 높았다 사업 성공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체 786가 긍정적으로 보았으며 공무원 그룹의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다만 성과 중심보다는 실생활 변화에 초점을 둔 실천적 규범 제시와 같은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응답자들은 자발적 주민 참여 시군 중심 실행 유통 개선 지역 특색 반영 교육 내실화 등을 핵심 개선점으로 제안했으며 현장 중심 운영과 행정의 지원적 역할 강조 실질적 이익 실현 장기적 추진 전략 수립 등이 주요 의견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농민의 생활변화와 체감 가능한 정책 실행이 중요하다고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3농혁신은 인지도와 정책 수요 측면에서 긍정적 기반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 체감도와 실행력은 낮아 주민 참여 중심의 현장 밀착형 정책 추진 전략사업의 실효성 강화 운영 구조 개선 등이 요구된다 성과보다 과정을 중시하고 주민 주도의 실천 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는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목차

Ⅰ 조사 개요
Ⅱ 조사 결과 분석
1 3농혁신 인지도 및 참여 정도 분석 결과
2 3농혁신 만족도 및 추진실태 분석 결과
3 3농혁신 문제점과 개선사항 분석 결과
4 기타 의견 분석 결과
부록
1 3농혁신 추진의견
2 3농혁신 운영개선 의견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