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는 2014년도 예산편성에 앞서 도민 1688명을 대상으로 우편 및 전화 설문을 통해 정책 우선순위와 예산 투자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도민들은 예산을 가장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할 분야로 농수산216과 보건복지211를 꼽았으며 일반행정 분야에서는 지역균형개발이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특히 농수산 분야에서는 유통체계 개선을 통한 농어민 소득 증대에 대한 요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교육 분야에서는 공교육 모델 창출과 평생교육 인프라 강화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있었으며 도민 다수는 친환경 무상급식 지원과 교육재단 설립을 우선 과제로 인식하였다 경제 분야에서는 지역경제 기반 구축과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한 투자 항목으로 지목되었고 복지 분야에서는 맞춤형 노인복지서비스와 저소득층 아동지원 확대가 우선 투자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복지 수요가 구체적인 대상별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문화관광 부문에서는 전통문화유산 보존과 친환경 관광산업 육성이 강조되었으며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 관리 선진화와 깨끗한 물 공급이 주요 과제로 제시되었다 건설교통 부문에서는 재해 예방사업이 높은 우선순위를 받았고 3농혁신과 관련해서는 농수축산물의 원활한 유통과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 생산이 중요한 투자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지역경제와 생활환경 개선에 대한 도민의 기대를 반영한 결과이다
3대 도정 혁신과제 중에서는 도민들이 지방분권과 3농혁신을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내포신도시 개막과 관련해서는 지역균형발전 도모가 가장 선도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으로 나타났다 5대 시책 중에서는 행복복지 실현이 가장 큰 관심을 받았으며 미래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로는 새로운 거버넌스 체계 구축과 신성장동력산업 발굴이 우선시되었다
예산 증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농수산304 경제산업 및 복지보건각각 181이 주로 언급되었고 감액이 필요하다고 본 분야는 일반행정405과 문화체육관광209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민들이 보다 실생활과 밀접한 정책 중심의 예산 편성을 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도민들은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농수산 복지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한 예산 확대를 요구하였으며 행정의 효율성 제고와 문화분야 구조조정 필요성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같은 도민 의견은 예산 편성의 방향성과 도정 추진전략 수립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교육 분야에서는 공교육 모델 창출과 평생교육 인프라 강화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있었으며 도민 다수는 친환경 무상급식 지원과 교육재단 설립을 우선 과제로 인식하였다 경제 분야에서는 지역경제 기반 구축과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한 투자 항목으로 지목되었고 복지 분야에서는 맞춤형 노인복지서비스와 저소득층 아동지원 확대가 우선 투자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복지 수요가 구체적인 대상별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문화관광 부문에서는 전통문화유산 보존과 친환경 관광산업 육성이 강조되었으며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 관리 선진화와 깨끗한 물 공급이 주요 과제로 제시되었다 건설교통 부문에서는 재해 예방사업이 높은 우선순위를 받았고 3농혁신과 관련해서는 농수축산물의 원활한 유통과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 생산이 중요한 투자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지역경제와 생활환경 개선에 대한 도민의 기대를 반영한 결과이다
3대 도정 혁신과제 중에서는 도민들이 지방분권과 3농혁신을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내포신도시 개막과 관련해서는 지역균형발전 도모가 가장 선도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으로 나타났다 5대 시책 중에서는 행복복지 실현이 가장 큰 관심을 받았으며 미래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로는 새로운 거버넌스 체계 구축과 신성장동력산업 발굴이 우선시되었다
예산 증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농수산304 경제산업 및 복지보건각각 181이 주로 언급되었고 감액이 필요하다고 본 분야는 일반행정405과 문화체육관광209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민들이 보다 실생활과 밀접한 정책 중심의 예산 편성을 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도민들은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농수산 복지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한 예산 확대를 요구하였으며 행정의 효율성 제고와 문화분야 구조조정 필요성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같은 도민 의견은 예산 편성의 방향성과 도정 추진전략 수립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의견수렴 개요
Ⅰ 총괄
Ⅱ 설문참여 현황
Ⅲ 설문조사 세부내역
Ⅳ 향후 계획
Ⅰ 총괄
Ⅱ 설문참여 현황
Ⅲ 설문조사 세부내역
Ⅳ 향후 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고승희
2016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고승희,김영일,김용운) 2016. 04. 11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7주년 자료집 (고승희,신동호) 2012. 06. 14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지방분권의 현황과 과제(박종관,문광민,이희재) 2016. 08. 17
2013 행복한 삶 : 경제적 가치를 넘어 (다쇼 카르마 우라,코널 스미스,장지에,고승희) 2013.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