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연구지원사업)2013년도 '열린 연구, 행복한 충남' 연구지원 사업 보고서 - 충청남도 7개시 대상 도시 인프라 녹색지표 분석
전략

(연구지원사업)2013년도 '열린 연구, 행복한 충남' 연구지원 사업 보고서 - 충청남도 7개시 대상 도시 인프라 녹색지표 분석

기간
2013. 09. 01 ~ 2013. 10. 31
연구책임자
최창규
연구자
신종석
키워드
녹색도시,인프라 재생,공학적 원칙,정량적 평가,충청남도 7개 도시,그린단지 시스템,자원이용 효율,친환경성
다운로드

충청남도 7개 시 대상 도시 인프라 녹색지표 분석(최창규)13.10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녹색도시 조성이 중요해졌으며 이를 위한 인프라 재생의 방향성과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충남 7개 도시를 대상으로 녹색도시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이 설계되었다
이 시스템은 공학적 원칙 공리적 설계Axiomatic Design 정량적 지표로 구성되며 녹색도시 인프라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효율성 상호연결성 집적화분산화 자연보전 편리성 단계적 녹색화 등으로 제시하였다 기능적 요구FR와 설계인자DP를 도출해 평가항목을 체계화했다
자원이용효율 기후변화 취약성 친환경성 세 가지 영역에 대해 평가 지표를 설정하고 인구에너지물 사용량 재생에너지폐기물 재활용률 탄소 배출량 등 20여 개 항목을 수치화하여 spider map 형태로 결과를 도출했다 데이터는 통계자료와 현장조사를 병행해 수집되었다
충남 7개 도시천안 공주 보령 아산 서산 논산 계룡를 비교 분석한 결과 아산시는 자원이용효율과 친환경성이 가장 낮았고 계룡과 논산은 친환경성이 높았다 대부분의 도시는 광역시 평균보다 낮은 자원이용 효율을 보여 개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천안시는 도시재생사업의 그린단지 시스템 기술을 도입하는 시나리오를 통해 자원이용효율이 약 44 향상되는 효과를 보였으나 친환경성과 취약성 개선은 제한적이었다 이 기술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 물 재이용 도시농장 조성 등을 통해 자원순환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였다
결론적으로 본 평가 시스템은 정책 결정자와 실무자가 녹색도시 조성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유효한 정량적 판단 도구로 기능할 수 있으며 지역 맞춤형 녹색기술정책 조합의 효과성을 비교하고 도시별 강약점을 명확히 파악해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목차

I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인프라 성능평가의 필요성
충청남도 도시의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평가의 필요성
II 평가 시스템의 개요
1 시스템의 비전 및 목표
2 평가 시스템의 구성
이론적 측면
시스템적 측면
정량적 측면
3 평가 시스템 구성별 상세 내용
저탄소 녹색도시 인프라를 위한 공학적 원칙
공리적 설계를 통해 도출된 기능적 요구FR과 설계인자DP
정량적인 평가지표 도출
평가 시스템의 특징 및 기대효과
III 충청남도 도시 분석
1 현황 분석 방법
2 충청남도 7개 도시 현황 조사
3 도시별 평가 결과
4 충청남도 주요 도시의 녹색도시 조성 시나리오 분석
IV 결론 및 시사점
1 충청남도 7개 도시 녹색도시 현황 평가
2 주요 도시 녹색도시 조성 방향 수립 및 정책 평가
3 추가 고려 사항
부록 1 그린단지 시스템 소개
11 그린박스
12 무막힘 우수 블락 기술
13 오수정화시설 재생기술
14 도시농장 기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