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연구지원사업)농촌 마을에서 그린맵(Green Map)적용의 효과성 및 제안점
전략

(연구지원사업)농촌 마을에서 그린맵(Green Map)적용의 효과성 및 제안점

기간
2013. 08. 07 ~ 2013. 12. 31
연구책임자
김대현
키워드
유기농 직판장,농촌 어메니티 자원,자연자원 보전,그린맵 제작,농촌관광 활성화,인지도 기반 지도,농촌마을 홍보,지속가능한 삶
다운로드

농촌 마을에서 그린 맵(Green Map) 적용의 효과성 및 제안점(김대현)_13.12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농촌은 인구감소 고령화 소득 저하 서비스 부족 등 복합 위기를 겪고 있으며 농촌다움 보전과 농촌 소득 증진을 위해 그린맵 도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연구가 출발한다 도시민은 자연자원에 대한 선호가 높지만 실제 농촌에서는 그 자원을 인식하거나 보존하는 데 한계가 드러났다
그린맵은 환경정보를 시각화한 지도이며 주민 주도로 지역의 생태 문화 사회 자원을 발굴하고 홍보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농촌 어메니티 자원은 자연 문화 사회적 요소로 구성되며 이를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그린맵은 농촌관광과 애향심 고취에 효과적이다
도시민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그린맵 형태로는 인지지도와 위성지도의 혼합형이 가장 선호되었다 또한 도시민은 자연자원 중에서도 산림 가로수길 캠핑장 동물농장 단풍 명소 생태길 강변 등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고연령일수록 다양한 자원을 선호하며 특히 50대는 공중화장실 마을안내판 박물관 등 실용적 공간에 관심이 높았다 남녀 모두 자연자원에 큰 관심을 보였으나 남성은 유기농 직판장과 산림에 여성은 가로수길과 대중교통 동물농장 등에 더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연구자는 세 마을바리실 알프스 벌랏 한지마을을 대상으로 그린맵을 시범 제작했고 각 마을의 자원 유형을 시각화해 비교했다 제작 과정은 마을 조사 인지도 수집 자원 기입 디자인 주민 검토의 4단계로 구성되며 어메니티 자원의 색상 분류로 가독성을 높였다
결론적으로 그린맵은 농촌 자원의 체계적 발굴과 주민 교육 도시민 홍보에 유효하며 연령별 맞춤형 관광 설계도 가능하다 농촌주민의 자원 인식 제고와 재정 지원이 병행될 때 농촌마을 그린맵은 지속 가능한 농촌계획과 녹색관광의 실천 도구로 정착할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관련이론
1 그린맵Green Map이란
2 농촌마을 그린맵이란
3 어메니티 자원이란
4 농촌 어메니티 자원이란
III 연구방법
1 주요 연구내용
2 설문 조사 내용 및 조사 대상자
3 농촌마을 그린맵 제작을 위한 대상지
IV 연구결과
1 도시민이 선호하는 농촌마을 그린맵의 형태
2 농촌마을 그린맵에 표현해야 할 선호하는 농촌 어메니티 자원
3 농촌마을 그린맵 작성
V 결론
1 결과 및 고찰
2 제언 및 의의
참고문헌
부록1 그린맵 아이콘
부록2 그림맵의 사례
부록3 농촌마을 그린 맵 제작을 위한 설문지
부록4 선호하는 농촌마을 그린 맵 형태 조사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