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2013년도 제1회 문화관광정책 토론회 '문화융성과 충남의 대응방향' (이해돈,김효정,이인배)
연구정책조성/기타

2013년도 제1회 문화관광정책 토론회 '문화융성과 충남의 대응방향' (이해돈,김효정,이인배)

기간
2013. 04. 11 ~ 2013. 04. 11
키워드
문화융성,지역문화정책,충남,문화정책방향,문화예술,융복합,문화산업,창의성
다운로드

문화관광정책토론회.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문화융성의 의미와 추진 방향 (이해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문화융성의 실현을 위한 지역문화정책 대응방안 (김효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문화융성과 충남의 문화정책 방향 (이인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13년 4월 9일 문화관광정책토론회는 문화융성과 충남의 문화정책 방향을 주제로 열렸으며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충남발전연구원이 발표를 맡고 학계 및 실무진이 토론에 참여했다 지역문화의 미래 전략을 종합적으로 조망했다
이해돈 서기관은 문화융성을 국민 행복과 창조경제 실현의 수단으로 정의하고 문화의 공공성과 다양성 확대 문화산업 육성 지역문화 활성화 등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문화정책은 경제와 사회를 아우르는 융합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조되었다
김효정 연구원은 44 전략으로 문화융성 시대의 지역문화 대응 방안을 설명하며 문화 자긍심 문화교류융합 예술가 후원 문화디자인 등 4대 정책과 ICSIBMCTMCCF 등 4대 시스템 구축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인배 연구위원은 충남의 문화정책 방향으로 예술인 창작지원 문화향유 기회 확대 문화격차 해소 생태휴식공간 확충 문화유산 활용 등을 제안했다 문화가 지역 정체성과 주민 행복에 직접 기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충남이 문화정책에서 전국 선도모델이 되기 위해선 지역 자원에 기반한 차별화된 전략 실질적인 예산과 조직 강화 지역민 참여 확대가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정책 수립과 실행 과정에서 지속성과 자율성 확보도 강조되었다
논의는 문화융성을 단순한 산업 진흥이 아닌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 회복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충남은 느리고 스마트한 문화를 통해 새로운 문화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공유하는 계기가 되었다

목차

I 문화융성의 의미와 추진방향
II 문화융성의 실현을 위한 지역문화정책 대응방안
1 내일은 8자 전성시대
2 문화융성시대의 특징
3 시대적 흐름
4 문화융성 지역문화정책의 비전
5 지역문화정책의 기본 전략
6 44 전략
7 세부전략
8 다른 생각
9 같은 생각
III 문화융성과 충남의 문화정책 방향
Ⅰ 문화정책의 동향과 미래변화 전망
01 문화와 국민생활
02 국내 문화정책 동향
Ⅱ 신정부의 문화정책방향
01 신정부의 문화관련 대선공약
02 신정부인수위의 문화정책 소개
Ⅲ 충남 문화향유 실태와 정책의 발전방향
01 충남의 문화특성과 향유실태
02 충남의 문화정책 방향
Ⅳ 국정과제별 충남의 대응계획안
01 예술인 창작 안정망 구축 및 지원강화와 문화향유기회확대문화격차해소
02 문화유산 보존활용 및 한국문화 진흥
03 생태휴식공간 확대 등 행복한 생활문화공간 조성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