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기조발표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읍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의 정책 방향을 설명하며 향후 추진방안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공유했다 지역균형발전의 실질적 추진을 위한 제도적 접근이 강조되었다
한상욱 박사는 국내외 읍면소재지 활성화 사례를 통해 소도시 문제의 핵심과 대안을 제시했으며 공간복지 기능 재편 지역 자산 활용 등이 핵심 전략으로 언급되었다 오형은 박사는 삽교읍 사례를 바탕으로 주민 주도 발전 모델의 실현 가능성과 중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에서는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참여에 적합한 사업 분야와 방식 주민역량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교수 공무원 추진위원 등 다양한 주체들이 실제 사례 중심의 실천 전략을 제안했다
특히 삽교읍 종합정비사업 추진위원회가 구성되어 발대식을 진행하며 주민 스스로 지역 발전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구조를 제도화하는 첫걸음을 내딛었다 이는 주민자치 실현의 실질적 기반이 되도록 설계되었다
워크숍은 전문가와 주민 간의 소통과 협업을 통해 읍면소재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고 주민참여의 제도화와 역량 강화가 향후 정책 추진의 핵심이라는 인식을 공유하는 계기가 되었다
목차
2 읍면소재지 활성화의 주요 이슈와 선진사례
한상욱 충남발전연구원 지역도시연구부장
3 주민 중심으로 발전하는 살기 좋은 삽교읍 만들기
오형은 지역활성화센터 대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한상욱
중부 농축산물류센터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관계자 워크숍(한상욱) 2016. 01. 08
충남발전연구원 생활권 연구회 1차 워크숍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계획수립방안 모색 워크숍'(정규재,한상욱) 2015. 01. 08
2013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 읍(동)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수준 향상 전문가 워크숍 (한상욱,이상준) 2013. 07. 23
소도읍 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 (김정연,한상욱,박종철,정영덕,권오혁,박시현) 2002. 07. 04
충남발전연구원 생활권 연구회 2차 워크숍 '지역개발지원법 시행에 따른 지역개발사업 관련 계획 수립방안 모색 워크숍'(한상욱) 2015. 01. 13
-
이상준
2016년[공주·부여·청양생활권]연계 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상준) 2016. 03. 22
2013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 읍(동)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수준 향상 전문가 워크숍 (한상욱,이상준) 2013. 07. 23
2016년 『서산·당진·태안생활권』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성일,이상준) 2016. 07. 28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
-
김정연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 소도시연구회 5차 워크숍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주제발표 (김정연,성주인) 2013. 07. 29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