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도시재생 정책방향모색을 위한 국제세미나 (김창석,東京大學大學院,김진우,김영)
- 기간
- 2008. 04. 23 ~ 2008. 04. 23
- 키워드
- 중소도시,도시재생,쇠퇴,고령화,콤팩트시티,글로벌화,지역거버넌스,창조도시
- 다운로드
-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도시재생 정책방향 모색을 위한 국제세미나.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기조연설]중소도시 재생사업 추진의 과제와 전략 (김창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원본]일본의 지방 중소도시 재생정책 및 사례(東京大學大學院).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번역]일본의 지방 중소도시 재생정책 및 사례(東京大學大學院).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원본]호주의 도시 재개발 과정 (김진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2008년 4월 충남대에서 열린 국제세미나는 중소도시의 쇠퇴와 재생 전략을 주제로 한국 일본 호주의 사례와 정책 방향을 다뤘다 서울시립대 김창석 교수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해외 교수들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이 진행되었다
일본은 인구 감소 고령화 중심 시가지 쇠퇴 등으로 지방 중소도시의 활력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규제완화 정책과 콤팩트 시티 전략이 병행되며 대형 쇼핑센터의 무분별한 교외 입지에 대응한 도시계획법 개정도 이뤄졌다
사례로는 가나자와시의 TMO 기반 내장형 재개발과 역사환경 보전 중심의 도시관리 문화시설을 통한 도시 이미지 형성이 소개되었다 다카마츠시는 시장 주도형 재개발 마루가메마치 사업을 중심으로 민간 제안과 프로젝트 파이낸스를 활용했다
마츠야마시는 시민 주도형 재생정책으로 언덕 위의 구름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시민 NPO 상인조합과 협력한 상향식 문화 도시정책을 실현하고 있다 필드 박물관 시민예술촌 등 창의성과 참여를 기반으로 한 모델이 주목된다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는 장기적 도시발전 컨셉 설정 광역 도시계획 제도 정비 문화와 자연을 활용한 고유한 도시 이미지 형성 자발적 참여와 협치 기반 거버넌스 구축이 제안되었다
전통적인 개발관료주의를 넘어서는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 접근이 강조되며 경제성장 중심 개발에서 벗어나 문화력 창의력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 지속 가능한 중소도시 재생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일본은 인구 감소 고령화 중심 시가지 쇠퇴 등으로 지방 중소도시의 활력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규제완화 정책과 콤팩트 시티 전략이 병행되며 대형 쇼핑센터의 무분별한 교외 입지에 대응한 도시계획법 개정도 이뤄졌다
사례로는 가나자와시의 TMO 기반 내장형 재개발과 역사환경 보전 중심의 도시관리 문화시설을 통한 도시 이미지 형성이 소개되었다 다카마츠시는 시장 주도형 재개발 마루가메마치 사업을 중심으로 민간 제안과 프로젝트 파이낸스를 활용했다
마츠야마시는 시민 주도형 재생정책으로 언덕 위의 구름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시민 NPO 상인조합과 협력한 상향식 문화 도시정책을 실현하고 있다 필드 박물관 시민예술촌 등 창의성과 참여를 기반으로 한 모델이 주목된다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는 장기적 도시발전 컨셉 설정 광역 도시계획 제도 정비 문화와 자연을 활용한 고유한 도시 이미지 형성 자발적 참여와 협치 기반 거버넌스 구축이 제안되었다
전통적인 개발관료주의를 넘어서는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 접근이 강조되며 경제성장 중심 개발에서 벗어나 문화력 창의력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 지속 가능한 중소도시 재생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목차
기조연설 중소도시 재생사업 추진의 과제와 전략
1 머리말
2 중소도시와 도시재생의 개념
3 중소도시 쇠퇴 현황
4 중소도시의 쇠퇴요인과 도시재생 방향
5 맺는 말
제1주제 일본의 지방 중소도시 재생정책 및 사례
1 일본의 지방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
2 일본 지방도시 재생 정책에 관한 근래의 논의
3 지방 중핵도시에서의 도시재생의 전개
4 정리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을 향해서
제2주제 호주의 도시 재개발 과정
1 서론
2 소도시의 재개발 과정
3 호주의 소도시 재개발 사례연구
제3주제 한국 지방중소도시 재생정책과 사례
1 서언
2 도시재생관련 제도
3 지방중소도시 재생추진 현황
4 지방중소도시 재생방안
5 결론 및 시사점
1 머리말
2 중소도시와 도시재생의 개념
3 중소도시 쇠퇴 현황
4 중소도시의 쇠퇴요인과 도시재생 방향
5 맺는 말
제1주제 일본의 지방 중소도시 재생정책 및 사례
1 일본의 지방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
2 일본 지방도시 재생 정책에 관한 근래의 논의
3 지방 중핵도시에서의 도시재생의 전개
4 정리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을 향해서
제2주제 호주의 도시 재개발 과정
1 서론
2 소도시의 재개발 과정
3 호주의 소도시 재개발 사례연구
제3주제 한국 지방중소도시 재생정책과 사례
1 서언
2 도시재생관련 제도
3 지방중소도시 재생추진 현황
4 지방중소도시 재생방안
5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