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갯벌은 육지와 해양 사이의 생태적 완충지대로 생물다양성과 해양생태계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그 가치는 농경지의 100배에 이른다
간척은 제방을 쌓아 바다나 하천을 육지로 만드는 작업이며 역간척은 이 간척지를 다시 자연 상태로 되돌리려는 사업을 의미한다
독일 네덜란드 미국 일본 등은 간척 중단 또는 갯벌 복원을 추진 중이며 우리나라도 고창 진도 장흥 등에서 복원 시도가 있었으나 주민 반발 등으로 대부분 무산되었다
충남은 방조제가 279개 갯벌 면적은 전국의 144에 달하며 수질오염과 간척지의 농업 기능 약화로 인해 해수유통과 생태복원 논의가 활발하다
역간척이라는 용어는 아직 공식적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았고 법률에서도 사용되지 않아 하구복원 연안생태계 복원 등 대체 용어 사용이 제안되었다
전문가들은 사업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해수유통 습지조성 갯벌복원 등을 포함하는 하구복원이라는 용어가 가장 적합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간척은 제방을 쌓아 바다나 하천을 육지로 만드는 작업이며 역간척은 이 간척지를 다시 자연 상태로 되돌리려는 사업을 의미한다
독일 네덜란드 미국 일본 등은 간척 중단 또는 갯벌 복원을 추진 중이며 우리나라도 고창 진도 장흥 등에서 복원 시도가 있었으나 주민 반발 등으로 대부분 무산되었다
충남은 방조제가 279개 갯벌 면적은 전국의 144에 달하며 수질오염과 간척지의 농업 기능 약화로 인해 해수유통과 생태복원 논의가 활발하다
역간척이라는 용어는 아직 공식적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았고 법률에서도 사용되지 않아 하구복원 연안생태계 복원 등 대체 용어 사용이 제안되었다
전문가들은 사업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해수유통 습지조성 갯벌복원 등을 포함하는 하구복원이라는 용어가 가장 적합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목차
Ⅰ 배경 및 목적
Ⅱ 해외 및 국내 사례
1 해외 간척사례
2 우리나라 사례
Ⅲ 간척지 관련 용어
1 행정 및 언론적인 측면
2 법률적인 측면
3 학술적사전적 의미
4 전문가 의견
Ⅳ 결론
Ⅱ 해외 및 국내 사례
1 해외 간척사례
2 우리나라 사례
Ⅲ 간척지 관련 용어
1 행정 및 언론적인 측면
2 법률적인 측면
3 학술적사전적 의미
4 전문가 의견
Ⅳ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진
큰빗이끼벌레 출현 대응책 마련을 위한 민관 전문가 합동 토론회(이상진,서지은) 2014. 08. 14
2015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국제포럼(Peter Esselink, 이동영, Hongda Shi, 이상진, 우승범) 2015. 08. 20
금강 물환경 정책마련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 개최 계획 (이상진) 2012. 11. 27
국가균형발전 12주년 학술 심포지엄(홍성호,황혜란,정희윤,이상진,류종현) 2016. 01. 29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추진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중천,김종성,권봉오,이상진) 2014. 03. 21
-
김찬규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전략과 충남의 과제 2013. 10. 01
환황해포럼(Pan-Yellow Sea Forum) 캐슬린 스티븐스, 쉬지엔 2015. 11. 20
국가균형발전 선언 13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CNI세미나2017-007) (황희연, 이민원, 황태규) 2017. 02. 14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하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2016년 시민단체와의 간담회 2016. 04. 12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상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시민단체 간담회 2015. 12.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