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역간척(逆干拓) 용어정리 관련 워크숍 (이상진)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역간척(逆干拓) 용어정리 관련 워크숍 (이상진)

기간
2013. 11. 19 ~ 2013. 11. 19
연구책임자
이상진
연구자
김찬규
키워드
역간척,갯벌복원,하구복원,간척사업,연안생태계,습지조성,해수유통,충청남도
다운로드

역간척 용어정리 관련 워크숍 (이상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갯벌은 육지와 해양 사이의 생태적 완충지대로 생물다양성과 해양생태계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그 가치는 농경지의 100배에 이른다
간척은 제방을 쌓아 바다나 하천을 육지로 만드는 작업이며 역간척은 이 간척지를 다시 자연 상태로 되돌리려는 사업을 의미한다
독일 네덜란드 미국 일본 등은 간척 중단 또는 갯벌 복원을 추진 중이며 우리나라도 고창 진도 장흥 등에서 복원 시도가 있었으나 주민 반발 등으로 대부분 무산되었다
충남은 방조제가 279개 갯벌 면적은 전국의 144에 달하며 수질오염과 간척지의 농업 기능 약화로 인해 해수유통과 생태복원 논의가 활발하다
역간척이라는 용어는 아직 공식적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았고 법률에서도 사용되지 않아 하구복원 연안생태계 복원 등 대체 용어 사용이 제안되었다
전문가들은 사업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해수유통 습지조성 갯벌복원 등을 포함하는 하구복원이라는 용어가 가장 적합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목차

Ⅰ 배경 및 목적
Ⅱ 해외 및 국내 사례
1 해외 간척사례
2 우리나라 사례
Ⅲ 간척지 관련 용어
1 행정 및 언론적인 측면
2 법률적인 측면
3 학술적사전적 의미
4 전문가 의견
Ⅳ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