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2013년 소도시연구회 5차 워크숍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주제발표 (김정연,성주인)
연구정책조성/워크숍

2013년 소도시연구회 5차 워크숍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주제발표 (김정연,성주인)

기간
2013. 07. 29 ~ 2013. 07. 29
연구책임자
김정연
연구자
이상준,한상욱
키워드
소도시연구회,5차,농촌중심지,면중심지
다운로드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주제발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 농촌중심지 활성화의 방향과 정책과제 (김정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 면중심지 활성화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 옥천군 안남면의 지역공동체 활동 사례 (성주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농촌중심지에 대한 정책적 관심은 도농분리적 정책으로부터 도농통합적 정책으로 전환되면서 부각되기 시작하였으며 그런 만큼 농촌중심지에 대한 이해는 도농통합상생 교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도농통합발전의 개념은 도시의 상공 문화 각종 편익과 농촌의 환경 여가 생산 등 서로의 역할과 기능이 보완되도록 유기적으로 연계 개발하는 지역개발 전략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농촌과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강점과 약점을 도시와 농촌의 생활기반이나 산업기반 등을 기능적으로 분담 연계 의존 조화시킴으로써 상호 발전적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전략적 개념으로 사용되었다송미령 등 2002
이와 같은 개념 정의에 근거하여 지금까지의 도농통합 발전전략의 적용 범주는 일정 생활권 내에서의 농촌중심지와 배후 농촌지역 간 역할분담과 기능적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중심을 이루었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 농촌중심지 활성화의 방향과 정책과제 김정연 충남발전연구원 박사
1 문제의 제기
2 농촌중심지 개발 관련 논의와 정책추진 실태
3 농촌중심지 정책방향 설정시 고려사항
4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과제와 추진방향
[제2주제] 면중심지 활성화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옥천군 안남면의 지역공동체 활동 사례
성주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
1 도입
2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안남면의 활동 사례
3 지역 공동체 활동의 성과
4 정책적 시사점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