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태안군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은 기후변화가 식량 물 에너지 안보 등 민감한 이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기후에 극단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수면 상승과 이상기후가 가속되고 있다
IPCC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명백히 인간의 활동에 기인한다고 명시하고 이에 따른 온도 상승과 강수량 변화는 과학적으로도 입증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세기 대비 온도와 강우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여름의 길이 증가 겨울의 단축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은 온실가스 감축Mitigation과 기후 적응Adaptation 두 축으로 나뉜다 온실가스 저감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 정책 수립이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구체적인 세부시행계획이 요구된다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근거해 5년 단위 국가전략과 지자체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태안군도 이에 따라 충청남도 시범지역으로 지정되어 적응계획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 계획은 법적 근거 아래 중앙과 지방정부의 연계를 통해 추진된다
태안군 적응대책은 지역 기후 특성 기후 변화 현황과 전망 취약성 평가를 토대로 추진되며 이를 통해 주요 대응 분야와 우선순위사업이 결정된다 특히 정량정성 평가를 통해 기후에 취약한 지역과 계층을 도출하고 분야별 실천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계획은 물관리 재해 건강 농업 산림 생태계 수산 분야를 아우르며 연차별 이행계획과 예산 편성을 통해 실행력을 담보한다 이를 통해 태안군은 향후 5년간의 기후변화 대응력을 강화하고 지역 특성에 맞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방침이다
IPCC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명백히 인간의 활동에 기인한다고 명시하고 이에 따른 온도 상승과 강수량 변화는 과학적으로도 입증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세기 대비 온도와 강우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여름의 길이 증가 겨울의 단축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은 온실가스 감축Mitigation과 기후 적응Adaptation 두 축으로 나뉜다 온실가스 저감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 정책 수립이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구체적인 세부시행계획이 요구된다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근거해 5년 단위 국가전략과 지자체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태안군도 이에 따라 충청남도 시범지역으로 지정되어 적응계획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 계획은 법적 근거 아래 중앙과 지방정부의 연계를 통해 추진된다
태안군 적응대책은 지역 기후 특성 기후 변화 현황과 전망 취약성 평가를 토대로 추진되며 이를 통해 주요 대응 분야와 우선순위사업이 결정된다 특히 정량정성 평가를 통해 기후에 취약한 지역과 계층을 도출하고 분야별 실천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계획은 물관리 재해 건강 농업 산림 생태계 수산 분야를 아우르며 연차별 이행계획과 예산 편성을 통해 실행력을 담보한다 이를 통해 태안군은 향후 5년간의 기후변화 대응력을 강화하고 지역 특성에 맞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방침이다
목차
Ⅰ 계획의 개요
1 수립배경 및 목적
11 계획의 배경
12 계획의 근거
13 세부시행계획 관련 정책
2 목적 및 의의
21 계획의 목적
22 계획의 의의
3 추진경위
4 계획범위 및 수립절차
41 계획의 범위
42 수립절차
Ⅱ 기후변화 적응 현황 및 전망
1 지역 특성 및 현황
11 태안군 지역 특성
12 태안군 인문 사회 환경
13 에너지 사용
2 상위 및 관련계획 현황
21 상위 관련계획
22 관련계획
3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31 태안군 기후변화 현황
32 기후변화 전망
4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41 이상기후 기상이변 발생
42 기후변화의 분야별 영향
43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44 재난 재해 취약지 추출
5 기후변화 적응관련 인식
51 조사개요
52 설문항목별 조사
53 종합
6 기후변화 적응 여건 종합
61 기후변화 영향 분석에 의한 취약성 평가
62 LCCGIS를 이용한 취약성 평가
63 일반인 인식 조사에 의한 취약성 평가
64 재난 재해 취약지 추출
65 종합
Ⅲ 계획 목표와 세부전략
1 비전 및 목표
11 비전
12 목표
2 적응 분야별 세부목표 및 추진전략
21 물관리 분야
22 재난 재해 분야
23 건강 분야
24 농업 분야
25 산림 분야
26 생태계 분야
27 해양 수산 분야
3 분야별 적응대책 및 세부대책사업 종합
Ⅳ 계획의 집행 및 관리방안
1 우선순위사업 선정
11 선정근거
12 우선순위사업
2 이행추진 기반마련
21 조직
22 추진방법
23 연차별 투자계획
Ⅴ 분야별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1 분야별 적응대책 및 세부대책사업 종합
2 중점분야 적응대책
21 물관리 분야
22 재난 재해 분야
3 기타분야 적응대책
31 건강 분야
32 농업 분야
33 산림 분야
34 생태계 분야
35 해양 수산 분야
부록
1 기후변화 적응관련 국내 사례
2 기후변화 적응관련 국외 사례
3 LCCGIS 인벤토리
1 수립배경 및 목적
11 계획의 배경
12 계획의 근거
13 세부시행계획 관련 정책
2 목적 및 의의
21 계획의 목적
22 계획의 의의
3 추진경위
4 계획범위 및 수립절차
41 계획의 범위
42 수립절차
Ⅱ 기후변화 적응 현황 및 전망
1 지역 특성 및 현황
11 태안군 지역 특성
12 태안군 인문 사회 환경
13 에너지 사용
2 상위 및 관련계획 현황
21 상위 관련계획
22 관련계획
3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31 태안군 기후변화 현황
32 기후변화 전망
4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41 이상기후 기상이변 발생
42 기후변화의 분야별 영향
43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44 재난 재해 취약지 추출
5 기후변화 적응관련 인식
51 조사개요
52 설문항목별 조사
53 종합
6 기후변화 적응 여건 종합
61 기후변화 영향 분석에 의한 취약성 평가
62 LCCGIS를 이용한 취약성 평가
63 일반인 인식 조사에 의한 취약성 평가
64 재난 재해 취약지 추출
65 종합
Ⅲ 계획 목표와 세부전략
1 비전 및 목표
11 비전
12 목표
2 적응 분야별 세부목표 및 추진전략
21 물관리 분야
22 재난 재해 분야
23 건강 분야
24 농업 분야
25 산림 분야
26 생태계 분야
27 해양 수산 분야
3 분야별 적응대책 및 세부대책사업 종합
Ⅳ 계획의 집행 및 관리방안
1 우선순위사업 선정
11 선정근거
12 우선순위사업
2 이행추진 기반마련
21 조직
22 추진방법
23 연차별 투자계획
Ⅴ 분야별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1 분야별 적응대책 및 세부대책사업 종합
2 중점분야 적응대책
21 물관리 분야
22 재난 재해 분야
3 기타분야 적응대책
31 건강 분야
32 농업 분야
33 산림 분야
34 생태계 분야
35 해양 수산 분야
부록
1 기후변화 적응관련 국내 사례
2 기후변화 적응관련 국외 사례
3 LCCGIS 인벤토리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인희
사회적 비용과 원가주의를 반영한 전기요금 체계 개편 국회 정책 토론회(박광수,이인희,이정호) 2015. 05. 12
내포시대 충남 비전 수립을 위한 워크숍(김정섭,강현수,박종서,이인희,김선배) 2012. 06. 20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모선희,이인희) 2008. 01.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